연초 개각설이 급부상하면서 누가 입각할지에 눈길이 쏠린다.
최대 관심사는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의 국무총리 기용 여부다. 여권 주변에서는 ‘이완구 총리설’이 끊이질 않고 있다. 충남도지사 등을 역임한 정치적 경륜에다 세월호 협상 과정에서 보여준 끈기와 안정감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충청권 출신이라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선거를 여러 차례 거치며 재산·사생활 등이 대부분 공개돼 인사 논란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것도 장점이다.
여권 관계자는 23일 “원내대표를 하면서 청와대의 신임이 더 높아진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 정부 부총리 2명 모두 정치인 출신이라는 게 변수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포진한 상황에서 이 원내대표까지 총리로 기용될 경우 내각 지도부가 정치인으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공석이 된 해수부 장관 자리에는 새누리당 유기준 의원의 이름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친박(친박근혜) 3선인 유 의원은 해양법 전문 변호사 출신으로 해양 정책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왔다. 해양수산 분야 관료나 전문가들의 발탁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주영 해수부 장관의 사의 수용은 새누리당 내부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4선 의원인 이 장관이 당으로 돌아오면 차기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할 것으로 확실시된다. 이럴 경우 새누리당 차기 원내대표 선거 분위기는 조기에 달아오를 가능성이 크다.
현재로선 차기 원내대표 선거가 이 장관과 유승민 의원 간의 양강 대결로 치러질 것이라는 전망이 가장 우세하다. 유 의원은 사실상 출사표를 던진 상태에서 여러 의원들을 만나며 지지를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장관은 당에 복귀하는 대로 본격적인 선거 준비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장관은 이미 두 차례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했거나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차기 원내대표 선거도 ‘이완구 총리설’과 맞물려 있다. 이 원내대표가 총리로 임명될 경우 차기 원내대표 선거는 개각 직후에 치러지게 된다. 하지만 이 원내대표가 임기를 마친다면 차기 선거는 내년 5월 중순 실시된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정치권에서 누가 입각하나...차기 원내대표 싸움 본격화
입력 2014-12-23 1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