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한때 인터넷 마비… 미국의 사이버 보복?

입력 2014-12-23 17:15

북한의 인터넷 망이 23일 오전 한때 완전히 마비돼 미국의 보복공격, 반북 단체 소행 등의 가능성이 제기됐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북한의 소니 영화사 해킹 사건을 겨냥해 보복 공격을 뜻하는 ‘비례적 대응’을 지난 주말 천명한 바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북한의 인터넷 사이트들이 20일부터 연결 상태가 악화되다 23일 오전 1시부터 완전히 불통 상태에 빠졌다. 북한 인터넷 사이트는 10시간여 만인 오전 11시 40분쯤 정상화됐다.

미 매사추세츠 주에 본사를 둔 아버 네트웍스는 이달 20일부터 북한의 인터넷 인프라에 대해 서비스거부(DoS) 공격이 이뤄지고 있음을 관찰했으며 이 공격이 이날에도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불통 사태가 우연히 일어났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정황으로 보아 미국이 비공개로 보복 사이버 공격에 나섰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고 미 언론들이 전했다.

미국 국무부는 이에 대해 확인도 부인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가능한 대응 옵션들에 대한 세부적 실행 방안을 공개적으로 논의하거나 또 이런 종류의 보도들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든 언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가 대응조치를 이행하면 일부는 눈에 보이고 일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사이버보복’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대응조치도 포함할 것임을 의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정보기술(IT)분야에 정통한 워싱턴 소식통은 “미국이 ‘보복’을 선언했지만, 이번처럼 당장 자신들의 소행으로 지목될 것이 뻔한 방식으로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북한에 반감을 가진 해커들의 소행이거나 북한이 미국의 공격에 앞서 예방 차원에서 스스로 인터넷 연결을 끊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우리 정부 관계자도 “반북 극우단체, 미국 정부, 북한의 자작극 등 3가지 정도로 추측할 수 있다”면서 “순전히 추측이지만 반북 극우단체가 선택적으로 해킹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한편 중국이 미국의 요청에 따라 북한의 소니 해킹 연관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이날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중국 외교부가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 등 다른 기관들의 예비조사에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