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올해 배당 늘린다

입력 2014-12-23 08:15
정부가 적극적인 배당 확대 정책에 나선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올해 배당을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순이익이 늘어 배당 여력이 커진데다 정부가 기업들의 배당 확대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나섬에 따라 시중은행들이 내년 초에 실시하는 배당을 늘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1932억원을 배당한 KB금융은 올해 배당 확대가 확실시된다.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윤웅원 KB금융지주 부사장은 최근 투자자 컨퍼런스콜에서 "정부 시책과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배당정책을 펼치려고 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기업 배당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상황에서 윤 부사장의 발언은 배당 확대를 공언한 것으로 해석된다. 국민연금이 지분율 9.5%로 KB금융지주의 최대 주주라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KB금융지주의 배당 확대 여력은 충분하다. 지난해 1조2000억원대였던 KB금융지주의 순이익이 올해 1조5000억원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분 51.2%를 소유한 기업은행도 기획재정부와 협의를 거쳐 배당 확대를 검토키로 했다. 정부는 내년 예산안에서 배당 관련 세입을 3800억원 가량으로 책정해 올해 3200억원보다 늘렸다. 정부가 기업은행과 산은지주의 배당에 의존하는 비중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업은행의 배당 확대는 기정사실로 여겨진다. 3분기까지 순이익이 8500억원으로 올해 전체 순익이 1조원을 넘어설 수 있을 정도로 실적이 좋은 점도 배당 확대를 가능케 한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배당을 실시하지 않아 올해에는 배당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우리은행의 순이익은 지난해 4600억원 수준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3분기까지 순이익만 9900억원에 달해 배당 여력 또한 크게 늘었다. 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를 효과적으로 추진하려면 배당성향을 높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설득력을 지닌다.

올해 순이익 전망치가 2조3000억원에 육박해 시중은행 중 최대 순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신한금융도 배당 확대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