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수준 낮을수록 아동 집에 방치되는 시간 길다

입력 2014-12-22 17:13

아동 10명 중 1명은 학교에서 돌아오면 거의 매일 혼자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미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정책연구본부 연구위원은 보건·복지 이슈&포커스 최신호에 실린 ‘아동의 삶의 질 현황과 정책과제’에서 보건복지부의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한국 아동청소년 종합실태조사는 복지부가 지난해 11~12월 전국 4007가구를 대상으로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조사 대상 중 6~17세의 어린이와 청소년을 양육하는 주양육자에게 아동이 방과 후 혼자 있는 빈도를 물었더니 10.5%는 ‘거의 매일’ 혼자 집에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10.1%는 ‘1주일에 3~4일 정도’ 혼자 있다고 응답했다. 20.6%는 3~4일 이상 집에 혼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주일에 1~2일 정도’ 혼자 있다고 답한 경우는 24.9%였다.

아동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은 소득 수준이 낮은 가구일수록 길었다.

아동이 하루 4시간 이상 혼자 집에 있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4.7%였는데, 기초생활보장 수급 가구에게서 13.6%, 차상위 가구에게서 23.5%나 돼 일반 가구(4.1%)의 응답률과 차이가 컸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