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겨울 시즌이 시작되면서 스키와 보드, 썰매나 겨울산행, 빙벽타기 등 겨울 레포츠를 즐길 생각에 많은 사람들이 설레고 있다. 이같은 겨울스포츠는 희열과 스릴이 넘치지만 늘 부상의 위험이 크므로 주의해야 한다.
기온이 낮아진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이나 점프, 방향 전환 등의 운동을 하게 되면 근육과 관절에 무리가 가고 인대나 관절에 부상을 당해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다. 또한 겨울산행 중 발을 헛디뎌 넘어져 발목을 삐거나 부러지는 부상을 당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특히 스키나 스노우보드를 타다가 넘어질 경우 발목관절에 부상을 많이 입는데 부상이 약할 경우 발목을 삐거나 인대가 손상을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심하면 발목관절이 부러지기도 한다.
발목을 삐거나 인대손상의 경우 통증과 부종을 치료하는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요법으로 간단하게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인대나 연골의 손상이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관절내의 손상일 경우 관절경을 이용한 치료가 많은 도움이 된다.
관절경 수술은 1㎝ 정도의 작은 구멍을 내고 카메라가 달린 관절내시경을 통해 관절 상태를 모니터로 직접 보면서 관절 내 손상된 연골이나, 기타 병변을 치료하는 수술로 후유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
보통 관절염이라고 하면 무릎이나 어깨에만 생기는 질환이라고 생각하지만 발목도 연골이 손상되거나, 인대파열로 불안정성이 있으면, 관절염이 발생하게 된다.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게 되면 관절염의 증세가 심각하게 되어 치료가 늦어지게 된다.
참조은병원 정형외과 김상길 과장은 “겨울철 레포츠를 하다 낙상하여 발목관절을 다칠 경우 다친 발목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여 빨리 병원을 찾아 진료하고, 정확하게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아무렇지 않게 생각해 부상을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만성 통증에 시달리거나 연골의 손상이 심해져 수술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겨울 레포츠로 인한 부상을 막으려면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고 레포츠 장비 등의 안전점검을 하고 부상을 최소화하여 넘어지는 방법 등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송병기 기자
겨울레포츠 발목관절 부상, 회복 빠른 관절경 수술로
입력 2014-12-22 13:41 수정 2014-12-22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