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향후 3년간 전국에 최대 20곳의 친환경 에너지타운을 지정하기로 했다. 가축분뇨 처리시설, 매립지 등 기피·혐오시설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고 문화관광 등 수익사업을 가미하는 모델로,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기업 등을 통해 주민들이 적극 참여하고 수익을 지역에 환원하겠다는 발상이다.
정부는 19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녹색성장위원회 회의를 열고 ‘친환경 에너지타운 종합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사업 내용과 특성을 고려해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주관 부처가 맡아 추진하고, 원활한 주민 참여를 위해 융자지원, 기업펀드 연계, 마을기업 선정지원 등 지원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지자체가 희망하는 부대사업을 우선 지원하고, 재정이 열악한 농어촌 지역의 경우 현행 50%인 사업비 국고보조율 상향을 검토한다.
신재생 에너지 판매사업자 선정 물량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신재생에너지 융합기술, 발전단가 저감기술 등에 집중 투자할 예정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친환경 에너지타운 최대 20곳 지정… 혐오시설서 신재생에너지 생산
입력 2014-12-19 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