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KB 전산 납품비리 의혹’ 김재열 전 전무 구속영장 청구

입력 2014-12-18 09:38
KB그룹의 전산·통신 납품비리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검사 김후곤)는 납품업체에서 금품을 받은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및 금융지주회사법 위반)로 김재열(45) 전 KB금융지주 전무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18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김 전 전무는 지난해 말 KB금융그룹의 통신인프라고도화사업(IPT)에 KT가 주사업자로 선정되고 G사에 하도급을 주는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가로 IT업체 M사 대표 조모(45)씨로부터 6000여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IPT는 국민은행 각 지점과 본점을 연결하는 전용회선 등을 개선하는 1300억원 규모 사업이다. M사는 KT에 200억원대 통신장비를 납품한 G사로부터 하도급을 받았다. 조씨는 김 전 전무에게 청탁을 해주는 대가로 G사와 거래내역을 부풀려 수십억원을 챙긴 혐의로 지난 4일 구속됐다.

검찰은 김 전 전무를 지난 12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뒤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구속여부는 이날 오전 영장실질심사을 거쳐 결정된다.

김 전 전무는 KB금융지주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로 일하다가 주전산기 교체를 둘러싼 내부갈등에 휘말려 지난 9월말 3개월 직무정지 처분을 받았다. KB금융지주는 15일 사표를 수리했다고 밝혔다.

또 검찰은 조만간 임영록(59) 전 KB금융지주 회장을 소환해 납품업체 선정에 얼마나 관여했는지 확인키로 했다. 임 전 회장은 KB금융그룹의 인터넷 전자등기 시스템 사업과 관련해 지난해 12월 중순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업체 L사로부터 주식 1억원 가량을 건네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이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L사가 자사 주요주주인 고려신용정보 윤의국(65) 회장과 임 전 회장의 친분을 이용해 로비를 벌인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수사를 받다가 자살을 기도한 윤 회장을 일단 11억원대 횡령 혐의로 구속기소한 상태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