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팔달산 토막살인 피의자 박춘봉(56·중국 국적)씨의 잔인한 시신 훼손 수법과 철저한 증거인멸 시도가 또 다시 드러났다. 사건 현장인 매교동 주택에서 발견된 혈흔이 박씨의 완벽한 증거인멸 시도로 DNA분석이 불가능하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분석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사건을 수사 중인 경기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17일 박씨가 동거녀 김모(48·중국 국적)씨를 목졸라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한 매교동 주택(전 주거지)에서 발견된 혈흔을 국과수에 보내 감정을 의뢰한 결과, DNA를 채취할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경찰은 지난 12일 혈흔을 채취해 시료를 국과수로 보내 김씨의 DNA와 일치하는지 분석해달라고 의뢰했다. 하지만 국과수는 경찰이 보내온 혈흔에서 DNA를 채취하지 못했다는 결과를 최종 통보해 온 것.
경찰 관계자는 “박씨가 증거를 인멸하려고 여러 가지 세제를 이용해 욕실을 닦았는데, 이 과정에서 혈액이 오염돼 DNA채취가 불가능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시신을 잔인하게 훼손하면서 많은 혈액이 나왔을텐데 어떻게 DNA채취가 불가능할 정도로 증거를 인멸했는지 의문”이라고 손사래를 쳤다.
이처럼 증거인멸에 철저했던 박씨는 교동 반지하방에서 두루마리 휴지에 튄 좁쌀만한 혈흔과 수도꼭지 뒷면에 묻은 인체조직을 간과하는 바람에 결국 덜미를 잡혔다. 이들 인체조직의 DNA는 피해자 김씨의 것과 일치했다.
한편 경찰의 피의자 행적조사에서 박씨가 범행 당일인 지난달 26일 밤 수원역 주변 한 여인숙에 한달치 ‘달방’을 마련한 사실이 확인됐다.
경찰은 박씨가 지난달 26일 밤부터 이달 3일 새벽까지 여인숙에 기거하면서 전 주거지와 반지하방을 오가며 시신을 훼손하고 유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경찰은 박씨가 범행 직후 부동산 사무실에 성명을 기재하지 않고, 해지할 휴대전화 번호만 제공한 점, 원룸치곤 욕실이 큰 방을 구한 점 등으로 미뤄 교동 반지하방은 오로지 시신을 훼손하기 위해 구한 것으로 보고 수사해왔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토막살인 박춘봉의 소름돋는 치밀함… 혈흔 DNA분석 못하게 여러가지 세제 사용
입력 2014-12-17 1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