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쇄신땐 정홍원 이주영 교체 확실...김기춘, 문고리 3인방 생존 가능할까

입력 2014-12-17 13:01

박근혜 대통령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사건을 정면돌파하기 위해 인적쇄신을 단행한다면 정홍원 국무총리의 교체는 불가피하다. 세월호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했는데도 후임 총리 후보의 잇단 낙마로 유임된 것 자체가 정상적이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 내각의 수장인 총리교체가 없이 인적쇄신을 했다고 말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국정경험 등이 풍부한 여권의 중진 정치인이나 박 대통령과 국정철학을 공유한 중도적 인사, 젊은 비정치인의 파격적 기용 등 여의도에서는 후임 총리 하마평도 벌써 무성하다.

지난 6월 개각 당시 유임됐던 일부 경제부처 장관이나 수차례 사의를 표명해온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중폭 수준의 개각이 단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정치권 일각의 인적쇄신 요구를 피해갈지도 관심거리다. 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 등 ‘문고리 3인방’ 생존 여부도 관전포인트다. 인적쇄신 시기는 내년 1월12일 정부 업무보고 이전이 될 가능성이 크지만 2월로 늦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