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비뇨기과 영역의 남성 성기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배뇨에도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비뇨기과학회(회장 주명수)는 지난 1~10월, 서울아산병원 등 전국 11개 대학병원을 방문한 40세 이상 성인남성 중 배뇨곤란 증상을 보인 환자 1151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비만도가 높을수록 전립선도 커져서 배뇨 시 불편을 더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비만이 전립선 및 남성 성기능, 배뇨 과정에도 직접적으로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뜻이다.
우선 비만과 남성 호르몬의 관계를 보면 BMI가 23미만으로 정상 및 저체중 남성의 경우, 남성 호르몬 분비 수치가 5.7ng/mL였으나 BMI가 30이상으로 중등도 비만 판정을 받은 남성의 남성호르몬 수치는 3.8ng/mL에 불과했다.
학회는 남성 성기능 수치도 측정했는데, BMI가 23미만인 남성은 남성성기능 점수가 11.5점, BMI 30이상 남성의 남성성기능 수치는 9.4점으로 각각 평가됐다. 남성 성기능 8~11점은 중등도의 발기 부전에 해당하는 수치로, 점수가 낮을수록 발기 부전 증상이 심해진다.
한편 비만은 전립선비대증도 촉진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적인 성인남성의 경우 전립선 크기는 통상 약 20cc다. 그런데 이번 조사결과 배뇨곤란을 겪고 있는 40대 이상의 남성 중 BMI가 23 미만인 정상 및 저체중 남성의 전립선 크기는 평균 25.9cc에 그친 반면 30을 초과한 중등도 비만 남성의 경우 33.9cc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일수록, 배뇨불편 증상도 더 많이 겪었다. 전립선이 커지면서 요도와 방광을 압박하기 때문일 것으로 여겨진다. 비만 남성들이 호소하는 배뇨불편 증상은 주로 빈뇨·야간뇨 등의 저장 이상 증상, 약뇨·분산뇨 등과 같은 배뇨 이상 증상, 잔뇨감 등의 배뇨 후 이상 증상 등이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남성 비만 땐 성기능 저하되고 배뇨에도 악영향
입력 2014-12-17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