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길거리 공중전화부스·우체통 사라진다…신호등·가로등·표지판 등 통합키로

입력 2014-12-15 11:12
서울시가 공중전화부스와 우체통을 철거하고 신호등과 가로등, 교통표지판 등을 통합해 단계적으로 정리하기로 했다. 국민일보DB

서울의 인도(人道)가 보행자를 위한 공간으로 확 바뀐다. 이용률이 저조한데도 공간만 차지하고 있는 공중전화부스와 우체통이 단계적으로 철거된다. 난립한 신호등과 가로등, 교통표지판, CC(폐쇄회로)TV는 한 기둥 아래 통합된다. 또 오토바이나 차량의 불법주정차를 근절하기 위한 ‘포켓주차장’이 처음 도입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5일 신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인도10계명’을 발표했다. 인도 10계명은 보도 위에 설치되는 모든 가로 시설물의 설치 기준, 시민 보행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기존 시설물의 정비방향과 세부 추진계획을 담고 있다.

서울시는 우선 공중전화 2609개소(5666실) 중 올해와 내년에 각각 450실 철거하고 2397개 우체통은 올해 390개, 내년 450개를 제거하는 등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또 택시 승차대, 가로판매대, 구두수선대, 자전거 거치대 등도 현장조사를 통해 이용자가 많지 않을 경우 적정한 위치로 이전 또는 철거할 예정이다.

좁은 인도에 제각각 설치돼 보행 공간을 더욱 비좁게 만드는 신호등, 교통표지판, 가로등, 시설안내표지판, CCTV 등 다양한 지주형 가로시설물을 한데 모아 하나의 기둥에 설치하는 ‘통합형 지주’로 전환한다. 신호등 등 신규설치나 노후지주 교체시에도 관련기관이 통합 가능여부를 검토한다. 현재 서울시 인도에는 신호등주 8017개, 가로등주 7497개, 표지주 415개, 기타 128개 등 총 1만6057개의 지주가 설치돼 있는데 서울시는 이를 단계적으로 통합해 거리의 각종 기둥을 줄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횡단보도 턱, 인도로 돌출된 가로수 뿌리, 좁은 보도의 지하철 환기구, 인도 위 한전 분전함 등 보행에 불편을 주는 시설도 일제 정비한다. 특히 횡단보도와 접한 인도의 높은 턱으로 인해 휠체어 장애인과 유모차의 통행에 어려움이 있는 곳을 조사해 단차를 없애는 공사를 단계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인도 중앙에 위치해 통행에 불편을 주는 시설물도 옮긴다. 대표적으로 보행에 지장을 주는 가로수를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해 존치 또는 이식·제거를 추진한다. 서울시가 올해 초 조사한 바에 따르면 8400주 가량의 가로수가 유효 보도 폭 2m를 확보하지 못한 채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에 방해되는 소화전도 올해 52개, 내년 80개를 적정한 곳으로 옮길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오토바이 불법 주행 및 차량 등의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변 ‘포켓주차장’을 조성하고 특별집중 단속을 벌이기로 했다. 포켓주차장은 미국 오레곤주나 체코 프라하 등 건물내 주차공간이 부족한 유럽과 미국의 대도시가 도입한 가로변 노상주차장 제도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서울시는 내년에 종로4가, 중구 마른내길 및 청계천로, 중랑구 신내로, 서초 방배로 등 5개 노선에 포켓주차장을 시범 운영하고 마곡·항동·고덕 강일지구 등 신규 도로에도 점차 설치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또 인도위 입간판, 상품 적치 등 불법 적치물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지역 상인들과 민관 합동 캠페인을 펼쳐 자율 정비를 유도할 방침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