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회씨 국정개입 문건 파문이 청와대 내부 문건 유출의 진원지를 둘러싼 진실공방으로 옮아가고 있다. 당초 모든 의혹의 초점은 ‘정씨가 과연 문고리 권력 3인방과 함께 국정에 개입했느냐’였지만 최근엔 조응천 전 공직기강비서관 주도로 문건의 ‘의도적 조작 및 유출’이 이뤄졌는지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청와대와 조 전 비서관 간에 주장과 반박이 이어지고, 문건 유출 이후 청와대의 사후조치에 대해서도 혼선이 빚어지는 상황이다. 김기춘 비서실장과 민정수석실, 부속실 등 청와대 내 핵심포스트는 물론 박근혜 대통령 동생인 박지만 EG 회장도 모두 경로에 연관돼 있다.
우선 청와대는 모든 사태의 배후에는 조 전 비서관이 있다며 그를 정조준하고 있다. 조 전비서관과 박 회장 측근 전모씨, 오모 행정관 등이 포함된 이른바 ‘7인 모임’을 통해 관련 문건이 작성되고 유출된 정황이 짙다는 것이다. 검찰에 제출한 자료 역시 이들에 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조 전 비서관은 청와대 감찰 결과가 “청와대의 조작”이라며 “7인모임을 날조해 문건유출의 주범으로 몰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 전 비서관과 가까운 오모 행정관에게 거짓진술을 강요해 자신을 모든 의혹의 주범으로 몰아간다는 것이다.
유출된 청와대 문건의 보고 배경과 경로, 사후 조치에 대해서도 입장은 서로 엇갈린다. 현재까지 드러난 경로를 정리해보면, 세계일보 기자는 지난 5월 조 전 비서관 중개로 박 회장을 만나 시중에 유출된 문건 사본 100여장을 전달했다. 문건 유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대통령이 직접 보고받기를 희망했다는 게 세계일보 입장이지만, 실제로 박 대통령에겐 보고되진 않았다.
조 전 비서관은 6월 오 행정관을 통해 문건 사본들을 정호성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에게 전달했다. 조 전 비서관은 이 문건도 박 대통령이 직접 보기를 원했다고 한다. 그러나 문건은 당시 홍경식 민정수석을 거쳐 공직기강비서관실로 내려왔고, 전달자인 오 행정관에 대한 조사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김기춘 실장이 관련 사항을 보고받았는지는 불분명하다. 조 전 비서관은 “(박 회장에게 문건을 건넨 이유는) 김 실장을 믿을 수 없어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호성 비서관은 자꾸 출처만 묻고 그 얘기를 안 하면 한 발짝도 못 나간다고 했다”고 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당시 오 행정관이 문건 유출을 보고하면서도 출처를 끝까지 밝히지 않아 감찰과 후속조치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조 전 비서관이 문건 유출 사실을 정 비서관에게 알린 것이 사실은 문건과 자신이 관련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자작극’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조 전 비서관은 “7인 모임은 조작이고, 청와대가 모두 꾸며낸 얘기”라고 주장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12일 “모두 소모적인 논쟁”이라고 반박했다.
청와대 문건 유출 및 국정개입 논란 속에 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세는 계속되고 있다. 한국갤럽은 지난 9~11일 박 대통령 직무 수행에 대해 전국 성인 1005명을 휴대전화로 설문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긍정평가는 41%, 부정평가는 48%였다고 밝혔다. 4주 연속 하락한 것이다. 박 대통령의 취임 후 최저 지지율은 지난 6월 총리 후보자의 연쇄 낙마 당시 40%였다. 이번 지지율은 지난해 4월 장관 후보자의 잇단 낙마 사태와 함께 두 번째로 낮은 수치다.
부산=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청와대와 조응천 문건 공방. 진실은?
입력 2014-12-12 1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