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외교 국조,‘내부 반발’ 고심하는 새누리당

입력 2014-12-12 16:19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이완구 원내대표가 여야 ‘2+2 회동’에서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를 수용한 뒤 친이(친이명박)계 반발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이 원내대표는 ‘정권’이 아닌 ‘사업’별 국조 방침을 분명히 하면서 진화에 나섰다.

이명박정부에서 청와대 비서관을 지낸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12일 원내현안대책회의에 참석해 “자원외교는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정부에 이르기까지 15년 이상 지속됐다”며 “그 과정을 돌아보는, 순수한 의미에서의 국조라면 해볼 필요가 있지만 이명박정부에 국한한 국조는 국민의 정치혐오증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이 이명박정부에서 추진된 사업에 한해 국조를 진행하자고 주장한 데 따른 반박이다. 권 의원은 이어 “정치적 목적을 갖고 한 국조는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전 대통령의 대변인격인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도 CBS라디오에 출연해 “너무 어처구니가 없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김 전 비서관은 “국조는 대형 비리가 있거나 국가를 뒤흔들만한 큰 의혹이 있을 때 하는 건데, 자원외교와 관련해선 그런 비리가 불거진 게 현재 단계로선 없다”고 강조했다. 자원외교 주무 부처였던 지식경제부 장관을 지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무책임한 정치 공세에 여당이 동조했다며 불만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 안팎에서 비판이 쏟아지자 이 원내대표가 수습에 나섰다. 그는 “그 사업이 적절했는지, 타당했는지, 얼마나 더 투자해야 되는지를 보는 게 합리적이지 어떻게 정권별로 잘라서 할 수 있느냐”면서 “정권 청문회도 아니고 말이 안된다”고 일축했다. 이는 대야용 발언이라기보다 친이계를 달래기 위한 언급으로 풀이된다. 이 원내대표는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간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새정치연합은 자원외교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았던 이 전 대통령을 증인으로 불러내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국조를 피할 이유가 없다. 당당하게 대처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이 실제 증인으로 출석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매우 낮다. 공무원연금 개혁과 부동산 3법 등 경제 관련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단결이 중요한 상황에서 여당 지도부가 전직 대통령을 증인석에 앉히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새누리당은 공무원연금 개혁 시한을 못 박지 않으면 자원외교 국조도 진행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 대표와 이 전 대통령의 신년 회동이 성사되면 자연스럽게 자원외교 국조에 대한 물밑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