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방폐장 부지선정부터 운영 가동까지

입력 2014-12-11 22:42 수정 2014-12-11 22:43
11일 착공 7년 만에 운영 허가를 받은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분장(방폐장)은 부지 선정 당시부터 극심한 갈등을 불러왔다.

2003년 처음 부지로 선정된 곳은 전북 부안의 위도였다. 당시 부안군수가 유치 공모에 단독 신청해 진행된 부지선정이 주민들의 극렬한 반대에 부닥쳐 ‘부안 사태’로 비화됐고 방폐장 건설은 무산됐다. 이듬해 주민참여 방식의 선정 절차가 마련됐지만 신청 지역이 전무했다. 결국 정부는 2005년 사용후연료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분리 처분하고 유치지역에 대한 지원 특별법을 제정했다. 사용후연료를 빼 위험부담을 낮추자 경북 경주와 포항, 영덕, 전북 군산이 주민투표에 참여했다. 2005년 11월 경주가 최종 유치에 성공, 동굴처분방식을 결정해 2007년 11월 공사가 시작됐다.

그러나 다른 문제들이 불거졌다. 처분 동굴을 건설하기 위해 진입 동굴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암질 등급이 당초 예상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굴 굴착, 연약지반 보강작업, 지하수 차단 문제 등을 보완하기 위해 예정된 공기도 30개월 연장했다. 하지만 안전성 논란으로 이어졌다. 환경단체 등과 경주시 의회, 주민들은 공사 중단과 안전성 재검토를 요구했고 검증 결과 각종 문제가 지적됐다. 2012년 1월에는 사일로 암반등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공사기간이 18개월 더 연장됐다.

지난 6월 30일 곡절 끝에 공사가 마무리됐고 8월 사용전 검사가 종료됐다. 활성단층 문제 등에 대한 환경단체 등의 우려는 계속되며 방폐장 운영이 원자력안전위원회 최종 승인을 받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려왔다. 결국 원안위 승인을 받은 경주 방폐장은 새해부터 본격적 운영에 들어간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