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정조준하고 있다. 정윤회씨를 비선실세로 지목한 청와대 문건의 작성·유출 과정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은 문건 작성과 유포 과정에 조 전 비서관이 있다고 판단하고, 이르면 내주 다시 소환할 예정이다.
11일 검찰에 따르면 수사팀은 청와대에서 올해 초 발생한 문건 유출 과정을 감찰한 자료를 넘겨받아 청와대 측이 제기한 이른바 ‘7인회’의 공모 여부 과정에 조 전 비서관이 핵심적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7인회’ 멤버로는 조 전 비서관, 박 경정, 전직 국정원 고위 간부, 박지만 EG 회장의 측근, 언론사 간부, 대검 수사관, 오모 청와대 행정관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이들은 모두 모임 자체를 부인하고 있다.
조 전 비서관은 이날 연합뉴스에 전한 입장을 통해 “이제 나를 엮으려니 7인회를 만들었나. 참 나쁜 분들”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청와대는 조 전 비서관이 주도한 ‘7인회’가 ‘정윤회 국정개입’ 동향 문건을 작성하고, 유출까지 한 것으로 의심된다는 감찰 결과를 검찰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비서관의 재소환 조사에 앞서 검찰은 박 경정에게 정씨와 ‘청와대 문고리 3인방’의 회동 의혹을 처음 알린 박동열 전 대전지방국세청장을 상대로 문건 내용의 출처를 캐고 있다.
김기춘 비서실장 교체설, 이정현 홍보수석 축출설, 김덕중 국세청장 교체설 등 정권의 핵심 인사들을 겨냥한 구체적인 문건의 작성 과정도 확인 중이다.
핵심 인사들의 축출설과 정씨의 은거설, 정씨를 만나려면 7억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 등 다양한 문건 내용의 개별 출처가 확인되면 ‘7인회’가 문건을 작성했다는 의혹의 실체도 함께 드러날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조 전 비서관이 문건의 작성, 유출을 주도했다’고 청와대에서 진술한 오모 행정관도 다음 주쯤 검찰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 검찰은 지난 4월 청와대 문건 유출 의혹이 제기됐을 때 오 행정관이 제시했다는 유출 문건 사진도 확보해 출처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이날 서울중앙지법에서는 박 경정이 올 2월 서울청 정보1분실에 보관한 짐에서 청와대 문건을 꺼내 복사한 뒤 유출한 혐의로 영장이 청구된 최모, 한모 경위에 대한 구속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이 열렸다. 지호일 기자
검찰, 조응천 전 비서관 정조준
입력 2014-12-11 2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