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방폐장 운영 최종 승인-저준위 방사능폐기물 처리에 숨통

입력 2014-12-11 17:13 수정 2014-12-11 20:05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지난 6월 완공된 경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방폐장)의 운영허가 승인안을 최종 승인했다. 이에 따라 경주 방폐장은 즉시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할 수 있게 됐다. 2008년 옛 교육과학기술부가 조건부 운영 허가를 낸지 6년 만이다. 포화상태에 있던 중·저준위 방사능폐기물 처리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원안위는 11일 서울 세종대로 원안위 회의실에서 제32회 회의를 열고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 사용 전 검사 등 결과’에 대한 심의를 통과시켰다. 경주 방폐장은 원자력발전소, 병원, 산업체 등에서 발생한 방사능 폐기물을 보관하는 시설이다. 폐기물을 담은 드럼통을 밀봉해 대형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사일로)에 넣고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싼 다음 암반동굴에 묻는 방식이다. 이 곳에 보관되는 폐기물은 방사능이 적지만 그동안 안전 문제를 놓고 방폐장 최종 운영 여부에 찬반이 엇갈려왔다.

이 시설은 2008년에 이미 운영 허가를 받았지만 당시 제기됐던 문제점들을 해결한 뒤에 가동한다는 조건이 달려있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2008년 9월부터 올 8월까지 81번에 걸쳐 검사를 수행했고 경주 방폐장이 기술 기준과 법령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KINS는 이 같은 결론을 지난 9월 원안위에 최종 보고했다.

그러나 논쟁은 계속 이어졌다. 일각에서는 지진 등 불확실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경주 방폐장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의문을 지속적으로 제기했다. 위원 9명 중 7명이 참석했던 지난달 13일 제31회 회의에서도 이 같은 문제에 대한 난상토론이 이어지다 의결이 연기됐었다. 경주 방폐장의 연내 운영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제기됐었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방폐장 안전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이종인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 등 참석해 원안위 위원들에게 안전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원안위 관계자는 “일부 위원들이 방폐장 운영 허가 승인에 대해 매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며 “그러나 KINS 검사 결과와 전문가들의 설명을 통해 경주 방폐장 운영과 관련한 모든 안전 규제는 충족됐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경주방폐장이 승인되면서 전국의 임시 저장시설에 뿔뿔이 흩어져 있는 방폐물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현재 한빛원전은 포화율이 96%, 한울원전은 90%, 고리원전은 83%에 이른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