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유린 행위로 500여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진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의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부산지역 대책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형제복지원 피해 생존자 모임,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복지연대, 부산민변, 부산을 바꾸는 시민의 힘 민들레, 부산장애인차별철폐연대, 애빈회, 부산장애인인권포럼, 부산인권포럼 등 부산지역 9개 시민·사회단체 소속 회원들은 10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형제복지원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부산대책위원회’를 출범했다.
대책위(공동대표 김종민·박태길·백영제·신수현)는 우선 부산지역에 흩어져 있는 형제복지원 피해자를 찾아내 지원하는 역할을 하기로 했다.
현재 대책위 모임에 참석하는 피해자는 20여명으로 아직 많은 피해자가 부산 곳곳에서 인권침해 후유증과 가슴 아픈 기억 등으로 말미암아 경제적으로도 피폐한 삶을 살고 있다.
대책위는 또 형제복지원이 국가 훈령에 따라 행해진 부랑아 시설이었던 만큼 부산시의 책임 인정과 사과, 진상규명도 촉구할 방침이다.
대책위는 이외에도 잘 알려지지 않은 형제복지원 사건에 관한 진상을 시민에게 알리고 특별법 제정 지원활동도 함께 펼쳐나갈 계획이다.
부랑인을 선도한다는 이유로 선량한 시민의 불법 감금, 강제노역과 구타, 학대, 암매장, 성폭행이 자행된 부산 형제복지원에서는 1975년부터 10여 년간 각종 인권유린 행위로 500여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형제복지원 사건은 1987년 잠시 세상에 알려졌지만 20년이 넘도록 묻혀 있다가 2012년 한 피해자의 국회 앞 1인 시위와 시민단체, 피해자, 정치권의 노력 끝에 현재 특별법이 국회에 상정된 상태다.
1960년 형제육아원으로 시작된 형제복지원은 이후 재육원, 욥의마을, 형제복지지원재단에 이어 지난 2월 느헤미야로 법인명을 변경했다. 현재 느헤미야에는 중증 복합장애인 47명이 생활하고 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복지원 인권유린으로 500여명 숨진 의혹 밝혀라” 부산지역 대책위 공식 출범
입력 2014-12-10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