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내 콘텐츠산업의 한 단계 높은 도약을 위해 2017년까지 중국시장 콘텐츠 수출 규모를 연간 40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와 국내 민간 관계자들, 중국 측과의 협력기구가 발족된다.
정부는 10일 최경환 경제부총리 주재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콘텐츠산업 한·중 동반성장 추진 대책’을 의결하고 주요 내용을 공개했다. 우선 콘텐츠 유관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와 민간전문가, 업계 대표 등으로 구성되는 해외콘텐츠협의체를 내년 1월 공식 발족한다. 이와 함께 중국 측 문화부, 광전총국, 판권국과 공동으로 게임과 문화산업정책, 방송, 스마트콘텐츠 등 콘텐츠 전반을 논의하는 다자협의체를 내년 이른 시점에 발족한다는 방침이다.
국내에서는 중국 자본을 활용한 콘텐츠 성장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영세기업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영세기업 지원 전문펀드를 2017년까지 500억원 규모로 확대하며, 기획단계 지원펀드도 500억원 규모로 늘린다. 한국콘텐츠진흥원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공동의 중국자본 투자설명회도 개최한다.
중국 수출 정보를 한 자리에 모은 콘텐츠 포털을 운영하며, 시장 진출에 대한 성공과 실패 사례도 데이터베이스화할 방침이다. 또 다각도의 콘텐츠 활용(OSMU) 지원과 함께 간접광고(PPL)와 광고시간을 대가로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신디케이션 공급’ 등 수익 모델을 모색하는 것도 지원한다. 급성장 중인 중국 내 모바일게임 시장 진출과 뮤지컬, 스타프로젝트 기획을 통한 공연산업 협력 기반 확대 등에 초점을 맞춰 ‘선택과 집중’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광형 선임기자 ghlee@kmib.co.kr
2017년까지 중국 대상 콘텐츠수출 연 40억달러까지 늘리기로
입력 2014-12-10 1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