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과 장사정포 공격에 육·해·공 전력을 동원해 동시 타격하는 우리 군 합동화력체계가 전력화됐다.
방위사업청은 지난 2010년 12월부터 개발해온 ‘전구합동화력운용체계(JFOS-K)’에 대해 전투용 적합 판정을 내리고 전력화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화력체계는 북한이 군사분계선(MDL) 인근에 집중적으로 배치한 240㎜ 방사포와 170㎜ 자주포 등 장사정포 및 중·단거리 미사일로 공격했을 때 지상, 해상, 공중전력으로 동시에 타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공중통제기(피스아이), 무인정찰기(UAV), 대포병레이더(TPQ), 전자전장비, 이지스 구축함 등에서 북한 장사정포와 미사일 기지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해 지상과 해상, 공중부대에 전파하고 유사시 이를 격파하는 일련의 합동대응체계이다.
지상에서는 다연장로켓(사정 45㎞), 전술지대지 미사일인 에이태킴스(ATACMS·사정 300㎞), 탄도탄 미사일인 현무Ⅱ(사정 300㎞), 현무Ⅲ(사정 1천㎞) 등으로 타격한다. K-9 자주포(사정 40㎞)와 아파치·코브라 공격헬기도 가담한다. 해상에서는 이지스함의 SM-2 대공미사일(사정 148㎞)로, 공중에서는 F-15K 전투기의 합동정밀직격탄(JDAM) 등으로 각각 대응한다.
방사청은 2012년부터 최근까지 한미 전술지휘통제자동화체계(C4I) 고위급회의에서 이 체계를 여러 차례 시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軍, 북한 장사정포 동시 타격 합동화력대응체계 전력화
입력 2014-12-10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