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나루]새누리당 긴급현안질문 구인난...김재원 공개 압박으로 10명 가까스로 채워

입력 2014-12-09 16:05

새누리당이 오는 15~16일 열리는 국회 긴급현안질문을 앞두고 한때 ‘구인난’을 겪었다. 질문 의제가 청와대 문건유출 및 비선실세의 국정개입 의혹 사건인 만큼 여당 의원이 나서는 게 정치적으로 부담스럽다는 분위기 탓이다.

9일 오전까지 지원자가 한명도 없자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가 ‘공개 모집’에 나섰다. 김 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새누리당에서 총 10명이 질문하게 돼 있는데 아직 한명도 신청하지 않았다”며 “끝내 신청자가 없으면 강제로 그동안 의정활동을 잘한 의원들 위주로 배정할 예정”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이어 오후에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아직까지 질문자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많이 참여해 달라”고 거듭 호소했다.

김 수석부대표는 직접 의원들을 접촉해 참여를 독려했다고 한다. 결국 3선의 홍문종 의원과 재선의 이학재 의원, 초선인 김상훈 김진태 김태흠 김현숙 윤영석 이노근 이장우 함진규 의원 등 10명을 채웠다. ‘자원’이라기보다는 ‘차출’ 성격이 짙다.

보통 긴급현안질문이나 대정부질문, 국정조사 청문회 등에는 지원자가 몰리기 마련이다. 자연스럽게 언론에 노출돼 얼굴을 알리고, 사안에 따라선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 구인난은 이례적인 일로 여겨진다.

당 관계자는 “비선실세 의혹의 실체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은 데다 검찰이 수사 중이어서 섣불리 말을 꺼내기가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국민 여론을 감안하면 정부를 무작정 감쌀 수도 없고, 따지자니 똑 부러진 증거가 없는 난감한 상황이라는 전언이다. 야당의 파상공세를 온몸으로 막아야하는 점도 달갑지 않은 부분이다. 공무원연금 개혁과 ‘사자방’(4대강 사업·자원외교·방위산업) 국정조사도 의제에 포함됐지만 실제 질문이 시작되면 비선실세 논란이 모든 이슈를 압도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배정 인원(8명)의 두 배를 훌쩍 넘는 의원이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정치연합 측은 “의제와 관련된 상임위에서 활동하는 전문성 있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전략적으로 질문자 명단을 짜겠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