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회 블랙홀’이 새정치민주연합에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안겨주고 있다. 청와대 비선실세 의혹이 12월 임시국회에서 청와대와 여당을 압박하는 지렛대가 됐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차기 전당대회나 당내 현안들이 여론에서 밀려나는 단점도 적지 않아서다.
새정치연합은 비선실세 논란이 터지자마자 이번 사건을 ‘정윤회 게이트’ ‘십상시 게이트’로 규정하고 대여압박 카드로 사용하고 있다. 효과도 나타났다. 그동안 사자방(4대강·자원외교·방산비리) 국정조사 요구에 꿈쩍도 않던 여당이 지난 5일 공무원 연금개혁안과의 ‘빅딜’ 가능성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여야는 9일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참여하는 ‘2+2’ 회동을 10일 열어 공무원연금 개혁과 사자방 국조 등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정치연합은 비선실세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나 특검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당 지도부의 한 의원은 “사자방과 비선실세 국정조사를 함께 묶어서 새누리당의 공무원 연금개혁안과 빅딜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며 “연금개혁안은 내용에 대한 동의가 아니라 ‘내년 상반기 중에 마련한다’는 식으로 시점을 명시하는 정도만 되면 (빅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 현안들은 이 논란에 가려지고 있다. 차기 전당대회가 대표적 사례다. 제 1야당의 간판 인사가 총출동할 예정이지만 전대는 여전히 여론의 관심밖에 있다. 전당대회 룰 결정이 15일로 미뤄지면서 주자들도 막판 눈치작전 중이다. 여기에다 보건복지부가 진주의료원 건물을 경남도청 서부청사로 활용할 수 있게 승인한 것과 관련, 김용익 의원이 5일째 항의단식을 하고 있지만 반향은 미미하다.
청와대·여당의 자중지란이 새정치연합의 ‘반사이익’으로 이어지진 않고 있는 것도 당으로서는 아쉽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지난 8일 발표한 12월 첫째주 여론조사를 보면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은 3.6% 포인트나 떨어진 46.3%로 집계됐다. 그런데 새정치연합의 지지율도 전주 대비 1.5% 포인트 동반하락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정윤회 블랙홀'이 새정치연합에 안긴 명암
입력 2014-12-09 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