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25개구와 경기도 10개시, 하나의 생활권으로 시설·자원 공유한다

입력 2014-12-09 14:43

서울 구로구에 사는 A씨는 집 바로 옆에 있는 경기 부천시의 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싶지만 서울시민이라 할인혜택이 없어 차를 타고 멀리 있는 구립 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경기도 양주시는 생활쓰레기를 처리하는 자원회수시설이 있지만 반입량이 부족한 반면 인접한 서울 은평구는 처리해야 할 생활쓰레기는 많은데 자원회수시설이 없어 고심하고 있다.

이처럼 행정구역상 나눠져 있지만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는 서울과 경기 36개 지방자치단체가 부지와 시설, 자연자원을 공유하고 지역발전을 위한 공동 협력사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시와 서울시 25개 자치구, 경기도 수원시 등 10개 시가 참여하는 ‘서경지역생활권’ 구성·운영 협약식이 1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다고 서울시가 9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노현송 서울시 구청장협의회장(강서구청장), 염태영 수원시장, 이재명 성남시장 등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하게 된다.

그동안 서울, 경기, 인천과 같이 광역단위의 행정협력은 있었지만 서울과 경기의 기초자치단체가 대규모로 참여하는 행정협력은 처음이다.

협약에 따라 36개 지자체는 이웃지역 부지·시설·자연자원을 활용해 체육, 문화, 환경시설 등을 함께 조성하게 된다. 또 생활권 연계 협력사업 발굴, 생활권 공동발전을 위한 상호협력, 지역 간 조정이 필요한 사안에 대한 지역상생발전 방안 마련도 가능해진다. 특히 인접한 지역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주민체감형 공동관심사를 효율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동북·서북·동남·서남 4개 권역으로 나눠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안건이 있을 때마다 수시로 운영하기로 했다.

지역발전 및 지역생활권 관련 사업비는 원칙적으로 주요 재원이 국비지만 긴급한 지역 현안 해결 등에 필요할 경우 서울시와 참여 지자체가 지방비를 분담해 사업을 자주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정책기획관은 “서경지역생활권을 통해 그동안 광역단위 행정협력 추진으로 한계가 있었던 일상적인 주민 애로사항 해결과 주민 체감형 생활환경 개선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