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 이어 스마트폰까지 중국이 세계시장 점유율에서 이미 한국을 추월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우리나라 10대 수출품목을 8개 산업으로 재구성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자동차·조선해양·석유화학·정유·철강 등 6개 주력 산업의 점유율이 중국에 역전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스마트폰은 올해 2분기 판매량을 기준으로 한국이 중국에 1.2% 포인트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화웨이·레노버·샤오미 등 중국 주요 스마트폰 기업 9곳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31.3%, 한국의 삼성·LG의 점유율은 30.1%로 집계됐다. 고가 제품군에서는 애플 아이폰의 인기가 여전하고, 중저가 제품군에서는 가격경쟁력과 기술력까지 겸비한 중국업체의 다양한 제품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세계 시장 점유율이 뒤바뀐 것이다.
자동차산업은 중국기업이 2009년에 이미 한국을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2003년까지만 해도 한국의 생산량은 337만대, 세계시장 점유율은 5.4%로 중국의 291만대, 4.7%보다 우위에 있었다. 그러나 2009년에는 중국이 243만대 가량을 앞서며 역전했다.
지난해에도 중국은 1097만대를 생산하며 점유율 12.5%를 기록했다. 반면 한국의 생산량은 863만대, 9.8%에 불과했다. 한국이 해외생산을 통해 세계 시장 점유율을 9%까지 끌어올렸으나 최근 정체기에 접어든 사이 중국은 내수를 기반으로 해외 업체들의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며 세계 시장 점유율 10%를 돌파한 것이다.
조선·해양산업에서도 수주량과 건조량, 수주잔량 등 3대 지표에서 중국이 모두 한국을 앞섰다.
석유화학산업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에틸렌 생산능력은 835만t(5.4%), 중국은 1876만t(12.2%)로 1041만t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정유산업 역시 중국의 양적 성장이 두드러진다. 석유 정제능력을 기준으로 세계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중국은 2003년 6.6%에서 2013년에는 13.3%로 두 배 가량 늘었다. 이 기간 한국은 2.8%에서 3.0%로 0.2% 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그나마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은 한국이 여전히 중국을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이 분야 역시 중국의 위협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한국 기업들은 중국과 격차를 벌릴 핵심기술 확보와 새로운 사업 발굴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은 중국의 내수시장을 적극 공략해 위기에 빠진 한국의 주력산업을 구출할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
스마트폰·자동차 세계시장 점유율, 중국이 한국 추월
입력 2014-12-08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