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분산제 도입 놓고 경기지역 학생-학부모-교사 찬반 의견 ‘팽팽’

입력 2014-12-05 18:45
방학분산제 도입을 놓고 경기지역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의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경기도교육연구원 교육통계센터가 5일 내놓은 ‘방학분산제에 대한 인식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한 도내 유치원 및 초·중·고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 등 9만2480명 가운데 50.8%가 ‘방학분산제 도입에 찬성한다’고 밝혔다. 유치원(52.4%)과 초등학교(54.3%)는 찬성의견이 다소 많았지만 중(47.9%)·고교(47%)는 반대 성향이 조금 강했다.

좀 더 들여다보면 학생(50.1%)과 교사(59.7%)는 찬성의견이 다소 우세한 반면 학부모(47.3%)는 반대의견이 더 많았다. 맞벌이 부부의 반대가 57.4%로 특히 높았으며, 자녀 수가 2명 이상인 가정도 절반이상(54.7%)이 방학분산제 도입에 동의하지 않았다.

방학분산제 시행 시 예상되는 효과로는 ‘가족과 보내는 시간이 많아진다’가 가장 많았으며, ‘배움과 연계한 체험학습 시간 확보’ ‘시험 이후 학습공백 최소화 및 적절한 휴식’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맞벌이 가정 학생들의 보육’과 ‘가정 간 사회·경제적 차이로 체험활동 격차가 더 벌어진다’ ‘교육과정과 학사일정 변경으로 혼란 야기’ 등 역효과도 지적됐다.

적절한 단기방학 기간으로는 학생의 경우 ‘2주 정도’(46.5%), 학부모와 교사는 ‘1주일 정도’(37.1%)가 적당하다고 답했다.

학교별 단기방학 시행시기와 기간에 대해서는 학생 45%가 ‘경기도 전체가 같은 시기에 동일한 방학기간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답했으나 교사(34.9%)와 학부모(42.9%)는 ‘학교 자율에 맡기되 학생의 형제자매를 고려해 같은 지역 내 학교는 기간과 시기를 같게 한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정책으로 ‘지역사회 시설 및 자원 활용 확대’ ‘맞벌이 가정을 위한 아동 돌봄센터 운영’ 등을 제시했고, 단기 방학기간 동안 학생이 참여할 프로그램은 학교가 주체가 돼 운영해야 한다고 답했다.

도교육청은 설문조사를 토대로 일선 학교에 방학분산제 형태와 기간과 시범학교 사례 등을 안내하고 2015학년부터 학교별로 자율적으로 시행할 것으로 권고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