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은 교사들이 교육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내년 공문서를 35% 줄일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시교육청은 “학교 업무 정상화를 위해 내년 공문서 접수·생산 목표를 올해보다 35% 줄어든 1471만여건으로 잡았다”고 밝혔다. 2016년부터는 해마다 5%씩 문서를 줄여 2018년에는 올해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한다는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문서를 덜 생산하기 위해 ‘공문서 감독관제’를 도입한다. 교육청에서 각 학교로 보내는 문서 가운데 꼭 필요하지 않는 것을 걸러내겠다는 것이다. 시교육청은 ‘불필요한 공문서 신고제’도 운영한다. 학교 교직원으로 하여금 똑같은 자료를 또 요구하거나 내용을 이해할 수 없어 업무에 부담이 되는 공문을 신고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시교육청은 매주 수요일을 ‘공문서 없는 날’로 정해 각 학교로 공문 보내는 일을 전면 금지한다. 단순 안내 공문의 경우 온라인의 통합게시판을 활용하기로 했다. 공문서 담당 직원에게 문서관리 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한편 시교육청에 따르면 학교로 접수되는 문서 가운데 평균 20%는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우체국, 정부투자기관 등 외부 유관기관에서 발송한 것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정부 통신망을 이용하면 전국 어디서나 문서를 보낼 수 있는 시스템 탓에 각 학교는 꼭 필요하지 않은 공문서를 해마다 평균 1500여건씩 자체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서울시교육청 2018년까지 공문서 절반으로 감축
입력 2014-12-05 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