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방남설'...정부 "리스크 큰 주장"

입력 2014-12-04 15:45

‘김정은 여동생’ 김여정이 내년 3월쯤 남한 방문을 추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진위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입장이다.

발단은 남북 사회·문화 교류행사 개최를 추진 중인 남북경협경제인연합회(남경연)가 지난 3일 김여정 및 북측 고위 당국자들이 행사 참여를 원한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남경연은 “북측 낙원무역총회사와 내년 3월 ‘남북 민족음식 예술문화 대축제’를 열기로 합의했고, 북측이 보낸 의향서에 김여정이 참석자로 명기돼 있다”고 밝혔다.

동방영만 남경연 회장은 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북측이 보낸 의향서에 김여정이 포함돼 있고, 직책이 노동당 대외사업부 부장으로 돼 있다”고 말했다. 중국을 통해 확인했는데 ‘김정은 당 제1비서의 유일한 여동생 김여정’이 확실하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그러나 통일부는 김여정의 방남 의사뿐만 아니라 동방 회장이 제출한 의향서 자체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스탠스다. 통일부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남경연이 당초 지난 10월, 11월쯤 서울에서 음식문화축제를 하겠다고 신청했지만 요건 미비로 반려했다”며 “이번에 다시 3월에 하겠다고 냈는데 역시 보완하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의구심을 두는 부분은 이 의향서의 ‘진본’여부다. 일단 초청장 형식이 기존 양식과 다르고, 낙원무역총회사도 2011년 이후 드러난 활동 사례가 없는 단체다.

무엇보다 김여정의 직책이 ‘당 대외사업부 부장’이라고 적시된 부분이 가장 의심스럽다. 노동당에 대외사업부란 부서 자체가 있는지 확인되지 않았고, 부장이란 직책도 노동신문이 지난달 27일 김여정에게 ‘당 부부장’이라고 호명한 사실과 배치된다. 11월에 부부장이었는데 그보다 시간적으로 앞선 10월에 이미 상위 직급인 부장이라는 게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만약 김여정 방남이 정상적으로 추진된다면 ‘백두혈통’으로선 첫 번째 사례가 된다. 통일부 고위 관계자는 “의향서만으로 의미 있다 평가하기엔 리스크가 크다”고 지적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