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부품가격이 국내에서 훨씬 더 비싸게 팔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시민모임이 공정거래위원회 지원을 받아 수입 자동차 5개 차종의 6개 부품 가격을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30개 부품 중 23개 부품의 국내 판매가격이 미국 독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수입차 중 크라이슬러 300C는 6개 부품 전부, 아우디 A6과 벤츠 E300은 5개 부품이 외국보다 비쌌다. 렉서스 300h 4개 부품과 BMW 520d 3개 부품도 해외 평균가격에 비해 국내 가격이 더 높았다.
이 중 렉서스 300h 앞 휀다의 경우 국내에서 69만1000원에 팔려 독일에 비해 2.5배, 미국에 비해 1.8배 더 높았다. 헤드램프도 224만9000원으로 독일에 비해 2.5배, 미국에 비해 2.1배 더 비싸게 받고 있었다. 크라이슬러 300C 본네트 후드는 136만8000원으로 독일(1.3배), 미국(1.9배)보다 고가에 거래됐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2000㏄ 동급 중형차를 기준으로 한 자동차 가격은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평균 2.9배 더 비쌌지만 부품 가격은 4.6배에서 6배 더 비쌌다. 이와 함께 국산·수입 자동차 9개 차종 30개 부품의 국내 판매가는 정비업소 유형에 관계없이 가격이 비슷했고 수입차 부품은 일반 정비업소 가격이 공식 업소보다 비쌌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일명 순정부품은 국산 및 수입 브랜드 모두 독점적인 수입·유통 구조로 인해 경쟁을 통한 가격 형성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순정부품 외에 ‘비순정품’ 및 대체부품으로 유통이 활성화돼 경쟁을 통한 가격 인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비순정품이라는 용어로 인해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만큼 비순정품이라는 용어를 ‘규격품’ 등의 용어로 대체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소비자시민모임 “수입차 부품 국내에서 더 비싸게 팔린다”
입력 2014-12-04 1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