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말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력교정술은 라식, 라섹이라는 이름으로 대중화 됐다. 빠른 회복과 간편한 시력교정방법으로 인기를 누렸지만, 기존의 시력 교정법으로 시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각막손상’을 피할 수 없어 환자들의 후유증 걱정, 보다 안전한 시력 시력교정술에 대한 연구가 계속돼 왔다.
전 세계적으로 모든 수술 분야에 최소침습, 최소손상 방식이 도입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각막손상을 최소화하며 안정성을 크게 높인 새로운 차세대 시력교정술이 등장해 주목을 받고 있다.
라식이나 라섹 수술을 받은 뒤 후유증 걱정은 각막손상과 관련이 깊다. 시력교정술이 각막 내부인 실질층을 노출시켜 레이저로 깍아 시력을 교정하는 방식이다 보니, 각막 속을 드러내기 위해 각막표면층을 잘라내야 한다. 이 때 각막 표면에 분포한 신경손상을 피하기 어렵다. 각막상피를 제거해 각막표면의 신경이 손상되면 신경이 둔감해져 눈이 말라도 눈물을 제때 내보내지 못해 안구건조증이 생기게 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런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보다 안전한 시력교정술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이 제3세대 시력 교정술인‘스마일’이다. 스마일은 (s.m.i.l.e) ‘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의 약자로, 일부에서는 스마일라식으로 알려져 있지만, 라식과는 그 수술 방법이 다르다. 수술에 꼭 필요한 최소한의 각막 절개로 신경손상을 획기적으로 줄인 안전한 시력교정술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스마일은 여타 시력교정처럼 각막을 깍아 내거나 각막표면을 잘라내지 않는다. 각막이 그대로 보존된 상태에서 1조분의 1초(팸토초) 초정밀 레이저가 각막표면을 통과해 각막실질층 내부에서 시력 회복에 필요한 만큼의 각막실질 조각만 절삭한다. 그 다음 각막 표면에 약 2mm 정도의 작은 절개창을 내어 불필요해진 조각을 끄집어내면 수술이 끝난다. 마치 딱딱한 수박 겉은 그대로 보존한 채 속만 일부 꺼내는 원리로, 통증이 없고 시력회복이 빠르다.
라식수술이 24mm 정도 각막을 절개해 각막뚜껑을 만들었다면, 스마일은 약 2mm의 작은 입구를 내는 방식으로 기존 수술에 비해 각막절개가 90% 가량 줄었다. 이때 각막표면층의 신경손상도 크게 줄어 시력교정 후 안구가 건조해지는 것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각막 표면을 잘라내거나 손상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해 남겨진 각막이 안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원추각막(각막이 압력에 견디지 못해 돌출되는 현상)에 대한 걱정도 크게 준다. 수술 후 사용하는 스테로이드 안약 사용도 1~2주로 최소화해 안압상승 같은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
대한안과학회에서 발표된 스마일 시력교정술의 수술결과를 보면 약 1200안 수술 후 시력을 측정했을 때 평균 시력은 1.15로 상당히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그 효과와 안정성을 인정받아 지난 9월에 열린 유럽 백내장 굴절수술학회(ESCRS)에서 36편의 관련 논문이 발표되는 등,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 방식으로 시력을 회복한 사례는 12만안 이상이며 국내는 2만안 이상이다.
라식보다 안전해 국내에서도 이 시스템을 도입해 시술병원이 늘고 있다. 국내에서 이 기술로 시력교정을 하는 안과는 약 20여개 병원이다. 정교한 수술인만큼, 충분한 기술력을 갖춘 병원인지, 수술 전 검사가 철저히 이루어지는 병원인지를 꼼꼼히 따져보고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장윤형 기자
각막 최소 절개로 보다 안전한 스마일 시력교정술
입력 2014-12-03 1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