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로명 전 장관 "월남전 후 남한 외교관 대 북한 간첩 1대7 교환 합의"

입력 2014-12-03 08:15

과거 월남전 이후 베트남에 억류된 이대용 전 공사 등 주월남 대사관 공관원 3명의 석방 협상시 이들과 남한 내 수감 중인 북한 공작원을 1대 7 비율로 맞교환하는 방안에 남북이 한때 합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로명 전 외무부 장관은 최근 출간한 책 ‘나의 외교 노트’에서 1978년 인도 뉴델리의 베트남 대사관에서 개최된 ‘남북한 및 월맹(베트남) 3자 협상’ 1차 본회담에서 “북한은 국제적 교환 선례 중 최대치가 채택돼야 한다면서 1 대 70(억류 공관원 1명과 북한 공작원 70명 교환)의 비율을 요구했다”고 공개했다.

외무부 아주국장으로 당시 회담에 참여했던 공 전 장관은 “이(북한 주장)는 브라질 게릴라와 브라질 정부간 내전에서 게릴라에 납치됐던 주브라질 스위스 대사 석방을 위해 그와 70명의 게릴라 부대원을 맞교환한 사례를 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공 전 장관은 “우리는 1대 1의 비율이 적당하다고 맞섰다. 이는 동독에서 체포된 미국 대학생 석방을 위해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 요원을 인도한 예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이후 2차 본회담 등에서 교환 비율을 1대 10으로 낮췄고 우리측은 1대 5로 상향, 최종적으로 1대 7이 교환비율로 결정됐다.

이후 남북 협상은 1979년 종결됐으며 이 전 공사 등 억류 공관원은 북한과 베트남의 관계가 변하고 스웨덴이 중재 지원을 하면서 이런 교환 없이 1980년 석방됐다.

공 전 장관은 이 책에서 한일 국교정상화, 코리아 케이트, 동백림 사건, 김대중 납치사건, 문세광 사건 등도 기록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