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어드, 만성B형 간염 완치 가능성 연구 결과 발표
만성B형 간염의 완치 가능성을 보여주는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는 지난 2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최근 미국간학회에서 공개된 만성B형 간염 치료제 ‘비리어드’(성분명 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푸마르산염, 이하 테노포비르)의 최신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연자로 참석한 백용한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8년간의 테노포비르 장기관찰 임상연구 결과, 테노포비르 내성 환자는 단 한명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우수한 안전성이 확인된 것에 의미가 있다”며 “또한 테노포비르 및 페그인터페론 병합치료 연구결과는 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과에 면역조절효과를 더하는 새로운 치료전략으로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의 소실률이 증가되어 만성B형 간염 완치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길리어드는 지난달 8일부터 11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제65차 미국간학회에서 현존하는 만성B형 간염 최장기 임상인 비리어드의 등록용임상 102, 103 연구의 8년 추적관찰 결과와 비리어드-페그인터페론 알파 2a(이하 페그인터페론) 병용요법과 비리어드 단독요법 및 페그인터페론 단독요법의 치료효과를 비교 검증하는 149연구 결과를 최초 공개했다. 특히 149연구는 미국간학회에서 발표된 논문 중 가장 우수한 11개 연구에 주어지는 ‘학회장 상(President's Award)’을 수상했다.
치료경험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비리어드의 8년차 임상연구 결과 장기간 치료에도 내성발현 없이 지속적으로 강려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비리어드와 페그인터페론 두 가지 항바이러스제의 새로운 병용요법 결과 만성B형 간염의 완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준우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의학부 전무는 “이번 미국간학회를 통해 발표된 비리어드의 최신 임상연구는 만성B형 간염 치료가 현재 치료수준에 머물지 않고, 환자들에게 완치의 희망을 주는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고 이번 연구결과의 의미를 설명했다.
반 전무는 또 “비리어드의 102, 103등록임상 연구의 8년차 결과를 통해 장기간 치료에서도 지속적으로 강려한 바이러스 억제를 통해 내성발현의 위험을 차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초 공개된 149연구를 통해 비리어드-페그인터페론이라는 새로운 병용요법이 s항원 소실률을 유의미하게 높여 만성B형 간염의 새로운 치료옵션의 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영수 기자
만성B형 간염 완치에 한걸음 더 다가서다
입력 2014-12-02 17:54 수정 2014-12-02 1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