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앞바다에 천연가스전 개발이 시작됐다. 빠르면 2017년 말 우리나라의 두 번째 천연가스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대우인터내셔널과 한국석유공사는 1일부터 울산 앞바다의 대륙붕 6-1 남부광구 내 고래D 가스전 후보지역에 평가시추를 개시했다고 2일 밝혔다. 고래D 지역은 지난 2004년부터 한국 최초로 천연가스가 생산되고 있는 동해-1 가스전으로부터 남서쪽으로 20㎞ 떨어진 곳으로, 1993년 탐사시추에 의해 천연가스의 존재가 확인된 지역이다. 대우인터내셔널 관계자는 “단순한 탐사 목적의 시추가 아니라 생산성을 확신하고 시작한 시추”라고 밝혔다.
국내 대륙붕은 지난 2004년 한국석유공사가 동해-1 가스전 생산을 시작해 세계 95번째 산유국이 된 이후 추가 가스전이 개발되지 않았다. 대우인터내셔널은 2011년 국내 민간 기업으로서는 최초로 동해 6-1 남부광구의 광권을 취득한 뒤 최근까지 6-1 남부광구 내 3차원 물리탐사를 실시해왔다.
시추에는 한국석유공사가 보유 중인 국내 유일 시추선 ‘두성호’가 사용되며, 약 56일 동안 해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최대 3293m까지 굴착 후 2개의 예상 가스층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가스 산출시험을 통해 생산 능력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대우인터내셔널 관계자는 “고래D 평가정은 평가 시추 완료 후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가 추후 생산정으로 전환된다”며 “2017년 상반기 중 같은 지역에 1~2개의 생산정이 추가로 시추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확한 매장량은 시추 결과가 나온 다음에야 확인할 수 있으나, 고래D 구조에 50만t 6광구 전체에는 350만t의 가스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대우인터내셔널은 고래D 가스전 후보지역 외에도 6-1 남부광구 내 경제성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수의 새로운 유망구조를 발견한 바 있다. 대우인터내셔널은 신규 발견한 유망구조에 대하여 2015년 3차원 물리탐사를 실시한 후, 2016년 2~3개의 탐사시추를 통해 지속적으로 국내 대륙붕 천연가스 개발에 나설 예정이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
울산 앞바다 대륙붕 천연가스 시추 시작
입력 2014-12-02 1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