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이 지속적 신(腎)대체요법 시스템을 이용한 필터 여과법으로 혈장을 교환해 혈액형이 다른 사람간 신장이식 수술에 성공했다.
아주대병원은 2일, 신장내과 신규태, 이식혈관외과 오창권·이수형 교수팀이 지난 10월23일 O형 혈액을 가진 말기신부전증 박모(48·여) 씨한테 A형 혈액형의 남편이 기증한 신장을 이식해주고, 지금까지 경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환자는 3주가 지난 현재까지 어떤 거부반응도 보이지 않고 양호한 신장기능을 유지하는 상태다.
17년 전 사구체신염으로 진단 받은 박씨는 2011년부터 말기신부전증에 빠져 혈액투석 치료를 해오며 신장이식을 준비해왔다. 그러나 뇌사자 신장 기증자가 나타나지 않고 남편(53)은 혈액형이 달라 이식받기가 쉽지 않았다.
혈액형이 다른 신장이식은 체내의 혈액형 항체가 새로 이식된 신장조직을 공격하는 거부반응을 일으켜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신 교수팀은 이에 따라 박씨에게 항체 형성 억제제를 투여하고 혈중 항체를 제거하는 혈장교환술을 통해 거부반을 최소화하는 수술법을 고안했다.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의 경우 타인의 혈액형 항체를 제거하는 혈장교환술 시행이 꼭 필요하다.
신 교수팀은 항체 제거용 필터를 지속적 신대체요법 기계에 장착해 혈액투석 치료와 유사한 방법으로 혈장교환술을 시행했다. 국내에서 이 방법을 시도하기는 신 교수팀이 처음이다.
신 교수는 “혈액형이 다른 사람끼리 신장이식을 할 때 필수과정인 혈액형 항체 제거를 좀 더 효율적으로 시행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했다는 데 이번 신장이식에 의미가 있다”며 “이종(異種) 혈액형간 신장이식 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게 돼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한편 아주대병원은 올해만 70건, 1994년부터 현재까지 총 600여건의 신장이식수술을 시행했다. 이들 환자가 이식받은 신장의 10년 생존율도 82%를 기록 중이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아주대병원, 혈장교환술 이용한 혈액형 다른 사람간 신장이식 첫 성공
입력 2014-12-02 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