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은 2일, 임홍국(왼쪽 사진)·김용진(흉부외과·가운데), 김기범(소아청소년과·오른쪽) 교수 연구팀이 돼지 판막을 활용, 인체조직과 유사한 차세대 심장판막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새 판막은 이종이식 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면역거부반응이 전혀 없는 사실상 ‘인간화’ 된 생체 조직이다. 병원 측은 향후 심장판막을 이용한 심장병 치료의 패러다임을 새 판막이 완전히 바꾸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돼지는 장기의 크기와 유전자 배열이 인체와 비슷해 인체 이식용 장기를 생산할 수 있는 동물 1순위로 꼽힌다.
문제는 영장류를 제외한 다른 포유동물에 존재하는 ‘알파갈(α-GAL)’이라는 당단백질이다. 인체는 이 알파갈에 대한 항체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돼지 심장판막을 인체에 이식하면, 항체가 알파갈을 이물질로 인식, 공격(면역거부)을 하게 돼 석회화 현상으로 제 기능을 못하게 된다.
임 교수팀은 ‘알파갈’을 제거하면 면역거부반응이 없는 심장판막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인간화 돼지판막 개발연구에 나섰다.
먼저 돼지의 대동맥 판막에 자체 개발한 항석회화 조직처리 기술을 적용, ‘알파갈’ 없는 심장판막을 만들고, 양 10마리의 승모판 부위에 이식한 후 계속 관찰했다. 그 결과, 시술 후 18개월이 지나도록 새 판막이 특별한 면역거부반응 없이 정상 기능을 유지했다. 혈역학, 방사선, 현미경, 생화학 검사에서도 석회화 및 퇴행성 변화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임 교수팀은 태웅메디컬㈜에 새 판막 관련 기술을 모두 이전, 산업화할 계획이다. 연구결과는 흉부외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유로피안 저널 오브 카디오 토레이식 서저리(EJCTS)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돼지심장조직 이용한 새 판막 개발…서울대병원 연구팀, 차세대 심장판막 이식 새 길 열어
입력 2014-12-02 1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