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가까운 새누리당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은 “정윤회씨의 국정개입은 낭설”이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정씨와 박지만 EG회장의 권력 암투설은 개연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친박 의원들은 정씨 ‘국정개입 의혹’ 문건에 나오는 ‘내용’보다 이 문건이 작성된 ‘배경’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용은 소설에 가깝지만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에서 왜 그런 문건을 만들었는지를 파헤쳐야 진실에 접근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친박, “문건 내용은 헛소문”=친박 의원들은 청와대 문건에서 정씨가 박근혜 대통령 핵심 측근으로 불리는 ‘문고리 권력’ 3인방을 포함한 청와대 안팎 인사 10여명을 매달 두 차례 정도 만나 정치 동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힌 부분을 가장 문제삼았다. 문고리 3인방으로 지칭되는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 정호성 제1부속비서관, 안봉근 제2부속비서관이 한 자리에 모이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이들 3인방이 다른 청와대 관계자들과 비선(秘線) 핵심 인사인 정씨를 외부에서 만났다는 것도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여기다 박근혜 대통령을 의원 시절부터 보좌했던 3인방의 사이가 예전 같지 않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한 친박 의원은 “3인방이 사이가 좋았을 때도 함께 다니는 경우는 드물었다”면서 “청와대 내부를 조금이나마 아는 사람들 중에 3인방이 최근에 같은 자리에서 회동했다는 사실을 믿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만·정윤회 암투설’…조응천 전 비서관의 역할 주목=청와대와 친박 의원들의 설명처럼 ‘찌라시(증권가 정보지)’ 같은 내용이 어떻게 청와대 공직비서관실 공식 문서에 버젓이 기재될 수 있었는지 그 의문을 풀어야 사건의 실체가 다가갈 수 있다.
영남권 친박 의원은 “사건의 열쇠를 쥔 인물은 조응천 당시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라고 잘라 말했다.
조 전 비서관은 박 대통령의 동생 박 EG회장과 가까운 사이로 알려졌다. 1994년 박 회장의 마약류 투약 혐의를 수사한 담당 검사로, 사건 이후 두 사람이 친한 관계로 발전했다는 게 여권 내부에서 정설처럼 퍼져 있다. 친박에 뿌리가 없었던 조 전 비서관이 정권 초기 청와대에 입성할 수 있었던 것도 박 회장 도움 때문이었다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조 전 비서관이 3인방과는 관계가 좋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친박 의원은 “박 회장과 가깝다는 소문 때문이었는지는 몰라도 3인방이 조 전 비서관을 노골적으로 견제했다는 얘기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친박 의원은 “박 회장이 자신과 친한 조 전 비서관을 통해 정씨와 3인방에게 반격을 시도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하지만 조 전 비서관이 암투설과는 별개로 ‘국정개입 의혹’ 문건 작성자로 알려진 박모 경정의 보고서를 윗선에 단순 전달만 하는 역할을 맡았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국민일보는 조 전 비서관의 자택을 찾고 통화를 시도했으나 입장을 듣지는 못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기획]친박 의원들이 바라보는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 사건
입력 2014-12-01 1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