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이 친일인사 김백일 동상의 현충시설 지정 철회 등을 촉구했다.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은 1일 오전 10시 오룡동 정부 광주지방합동청사 입구에서 김백일 동상 현충시설 지정 철회 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기자회견에는 시민모임과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광주 학생독립운동 기념사업회, 6·15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 광주·전남본부, 4·19 전국통일의병대,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광주·전남본부, 광주시민단체협의회 등이 참여했다.
시민단체들은 “대통령 소속 친일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가 2009년 김백일을 친일 반민족행위자로 규정한 만큼 더는 현충시설로 관리할 이유가 없다”며 “육군보병학교에 건립돼 있는 동상을 현충시설에서 제외하라”고 주장했다.
김백일(1917∼1951)은 당초 6·25 한국전쟁 당시 38선을 맨 먼저 돌파한 육군 제1군단장으로 흥남 철수작전에서 10만명의 피란민을 해상 수송을 통해 구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묘지는 현재 서울 국립현충원에 안장돼 있다. 또 거제포로수용소·서울 전쟁기념관 등에도 그의 흉상과 동상이 세워져 현충시설로 관리되고 있다.
특히 광주에는 도로명을 비롯해 초등학교와 어린공원에도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최근 그의 친일행적이 드러나 시민단체들이 개명을 요구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을 개최한 시민단체들은 최근 성명서에서 “김백일(본명 김찬규)은 일제 침략기에 항일독립군 토벌을 주 목적으로 창설된 특수부대인 간도특설대의 핵심 간부 출신으로 일제가 패망할 때까지 혼을 바친 사람이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간도특설대는 항일독립군 토벌에 전위대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고문, 살인 등 잔악한 행위로도 악명을 떨쳤다”며 “김백일이 한국전쟁 때 공로가 있다고 해서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의 행적이 결코 지워질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백일의 경우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헌법정신에서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사례로 더 이상 논란이나 시빗거리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김백일의 이름이 광주지역 학교와 어린이공원은 물론 인근에 위치한 산에까지 붙여졌다는 사실에 놀라움과 충격을 감출 수 없다고 덧붙였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지역 시민단체 “친일인사 김백일 현충시설 지정 철회하라” 촉구
입력 2014-12-01 10:09 수정 2014-12-01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