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인 총출동-정윤회 '국정개입의혹' 확산 차단 나선 새누리당

입력 2014-11-30 16:49

새누리당은 30일 정윤회씨의 ‘국정개입 의혹’을 “정보지 수준의 풍설”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대신 청와대 내부 문건이 유출된 경위와 책임을 따져 묻는 데 화력을 집중했다. 이번 사건을 ‘문건유출 사건’으로 한정해 야당의 ‘정윤회 게이트’ 쟁점화 시도를 차단하려는 의도다.

새누리당은 이례적으로 3명의 대변인이 총출동해 검찰의 신속한 수사와 야당의 자제를 촉구했다. 문건 자체에 대해선 ‘유언비어’ ‘허구와 상상에 기인한 소설’ ‘조잡한 문건’ 등의 표현을 써가며 일제히 깎아 내렸다. 사건이 처음 보도된 지난 28일 당 차원에서 어떠한 입장도 내놓지 않았던 것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포문은 이장우 원내대변인이 열었다. 이 원내대변인은 서울 여의도당사 브리핑에서 “언론에 보도된 문건은 시중에 흘러 다니는, 증권사에나 돌아다니는 정보지 수준의 풍설을 정리한 것”이라며 “특정인이 개입했다는 근거는 물론 사실관계도 밝혀진 일이 없다”고 주장했다. 회합 장소로 거론된 중식당 관계자가 청와대 인사들이 찾은 적이 없다고 밝힌 언론 보도 등을 근거로 “최소한의 사실관계도 맞지 않다”고 폄훼했다. ‘풍문 수준의 조잡한 문건을 갖고 부화뇌동하는 야당’이라는 프레임을 의도한 것이다. 이 원내대변인은 이어 “국정의 총체인 청와대에서 근무한 직원의 내부 문건 유출은 있어서도 안 될 일이고 결코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며 화제를 검찰수사로 돌렸다. 김현숙 원내대변인은 야당이 이 사건을 ‘국정농단 게이트’로 몰아붙이고 있는 데 대해 “증거가 없는 정보지 수준의 낡은 의혹제기야말로 국정을 농단하는 질 나쁜 정치공세”라고 맞받아쳤다.

이어 김영우 수석대변인도 “이 문제는 청와대가 관련 내용을 보도한 언론사를 고소한 만큼 진상규명의 열쇠는 사법당국에 맡겨지게 됐다”고 가세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야당을 향해서는 “정치적 공세에서 벗어나 인내심을 갖고 수사 결과를 기다려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하지만 당 내부에선 정씨의 국정개입 의혹이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여러 차례 불거졌던 ‘인사 참사’ 등을 재환기시키면서 겉잡을 수 없이 번질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마무리 작업 중인 내년도 예산안 심사와 이후 법안심사 과정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여론의 향배에 따라서는 향후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야당에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도 조금씩 퍼진다.

핵심 당직자는 “여권이 사활을 걸고 추진하고 있는 공무원연금 개혁과 야당이 내세우는 ‘사자방’ 국조 등 현안을 해결하는 것만도 벅찬데 여당으로선 매우 껄끄러운 폭탄 하나를 앉게 됐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야당의 국정 조사 요구에 대해선 “청와대가 고소를 했기 때문에 검찰 수사를 지켜봐야 한다”고 선을 긋고 있다.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은 수사중인 사건의 소추에 관여할 목적으로 감사 또는 조사가 이뤄져선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