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정윤회씨 ‘국정개입 의혹’ 문건 유출 파문을 ‘정윤회 게이트’로 규정했다. 청와대발(發) 대형사건을 통해 정치적 대반전에 나서겠다는 포석이다. 여권 전체를 공격할 수 있는 호재(好材)인 만큼, 예산정국에서 밀린 수세를 여권 총공격으로 대형을 전환하는 모양새다.
한정애 대변인은 30일 국회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이 이 문제를 외면한다면 정씨의 국정개입 의혹을 확인해주는 결과가 될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한 대변인은 이어 “박 대통령이 1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른바 ‘문고리 권력 3인방’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며 “만약 국정농단을 방치하면 대통령의 책임에 대한 지적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도 했다.
서영교 원내대변인도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국회 운영위원회를 소집해야 한다”고 새누리당을 압박했다. 서 원내대변인은 “운영위 소집에 응할 것처럼 하던 여당이 갑자기 검찰수사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며 “의혹을 없애려면 반드시 운영위 소집에 응하고 청와대 관계자들을 소환해 문건 내용과 비선조직의 실체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차원의 대규모 ‘비선실세 국정농단 진상조사단’도 발족했다. 단장에는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비서관을 역임했던 박범계 의원을 선임했다. 의원 6명을 비롯해 변호사와 외부 전문가 4~5명을 포함한 조사단이다. 단장을 맡은 박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우선 드러난 사실부터 철저하게 분석해 조사에 착수하겠다”며 “국회 상임위가 돌아가기 시작하면 결과물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의 적극 공세는 이 사안이 ‘야당으로서는 잃을 게 없는 싸움’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동안 주요 정치쟁점이 불거질 때마다 노출됐던 당내 강경파와 온건파의 의견 대립도 이번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당내 분열로 밀리기만 하던 여권과의 ‘기 싸움’도 역시 이번엔 우위에 설 수 있다는 게 당대 여론이다. 만약 공세과정에서 현 정부의 ‘비선 라인’을 소문이 아니라 실체로 드러낼 수 있다면 정국을 주도할 절호의 기회를 얻게된다는 판단도 작용한 듯 하다.
그러나 당 일각에서는 “이 문제에 너무 집착할 경우 당이 추진해온 다른 정책과 이슈들이 모두 사장돼 버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모든 정치적 추진력을 다 집어삼키는 블랙홀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새정치연합이 강력하게 요구해왔던 ‘사자방(4대강·자원외교·방산비리)’ 국정조사도, 정부여당의 공무원연금 개혁 공세에 대한 방어 등도 다 묻혀버릴 수 있다는 걱정이다.
진상조사의 결과물이 탐탐치 않을 것이라는 시선도 존재한다. 당 핵심관계자는 “솔직히 언론보도 내용 이상이 없어서 우리도 답답하다”면서 “일단 조사단부터 꾸려서 실체파악부터 해보자는 게 우리 심정”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새정치연합 “대통령이 해명하라” 총공세 나서
입력 2014-11-30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