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대만 총통 선거의 전초전으로 평가된 지방선거에서 집권 국민당이 참패했다.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장이화 행정원장(총리격)이 즉각 사퇴했다. 마잉주(馬英九) 총통의 레임덕과 함께 중국과의 관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29일 실시된 대만 지방선거에서 국민당은 타이베이와 타이중을 비롯해 6개 직할시 중 신베이 1곳을 제외한 5곳에서 패배했다고 대만 언론이 30일 보도했다. 기존 국민당은 6개 직할시 가운데 4곳을 장악하고 있었다. 예비 총통선거로 불리는 타이베이 시장 선거에서는 야당인 민진당의 지원을 받은 무소속 커원저(55) 후보가 85만표(57%)를 얻어 국민당 롄성원(44) 후보를 24만여표 차이로 가볍게 따돌렸다. 외과의사 출신의 커원저는 정치 신인이지만 ‘총통 등용문’으로 알려진 타이베이 시장 자리를 차지하면서 잠재적 대권 후보로 부상했다.
전체 22개 직할시장과 현(縣)장 및 시장 선거에서 국민당은 6석을 얻는 데 그쳤고, 민진당 13석, 무소속은 3석을 차지했다. 특히 국민당의 전통 지역 기반인 타이베이와 타이중이 모두 야권으로 넘어가면서 차기 총통 선거에서 정권 교체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국립 대만대 창야충 교수는 “어느 당이든 타이베이와 타이중을 얻는 정당은 2016년 1월 열리는 총통 선거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패배한 당은 1년여를 앞둔 상황에서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분석했다.
마 총통은 전날 밤 국민당 선거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선거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며 당 내부개혁과 변화를 계속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마 총통이 국민당 주석직에서 물러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번 선거를 승리로 이끈 차잉원 민진당 주석은 기자회견에서 “대만 북부 지역의 민심이 민진당으로 돌아섰다”면서 “새로운 출발선에 선 민진당이 대만의 발전을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국민당의 참패 원인으로는 마 총통의 친중(親中) 노선과 잇따른 식품안전 사고, 실패한 경제정책 등이 꼽힌다. 특히 대만 정부가 일방적으로 중국과 서비스무역협정을 추진하면서 지난 3월에는 대학생들이 20여일 동안 입법원 점거 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국민당 참패 이후 중국과 대만의 양안 관계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과거 군사적 긴장까지 야기했던 양안 관계는 2008년 마 총통 집권 이후 급속도로 가까워졌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서 대만 독립을 주장하는 민진당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서비스무역협정 체결 협상을 포함한 양국 간 각종 정치·경제협력 조치들을 계획대로 추진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도 긴장하고 있다. 중국 국무원 대만사무판공실 마샤오광 대변인은 “양안 동포들이 어렵게 얻은 양안 관계의 성과를 소중하게 여기기를 희망한다”며 “양안 관계의 발전을 수호하고 발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대만 집권 국민당 지방선거 참패… 2016년 총통 선거도 암울
입력 2014-11-30 15:54 수정 2014-11-30 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