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중산간 개발행위 증가로 지하수 오염 우려

입력 2014-11-30 15:38

제주 중산간 지역에 개발행위가 늘어나면서 지하수 오염 우려를 낳고 있다.

제주도는 중산간 지역(해발 200∼600m)의 개발행위가 2011년 41건에서 2012년 79건, 2013년 117건으로 급증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중국 자본 등에 의해 중산간 지역까지 소규모 건축행위 및 관광지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산간 지역의 1일 하수발생량도 2011년 2320㎥, 2012년 4214㎥, 2013년 3만1544㎥ 등 2년새 13.6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수자원본부는 중산간 지역에 들어서는 신규 건축물의 오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을 강화하는 내용의 ‘제주도 하수도 사용 조례’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개정안은 1일 하수처리용량의 기준을 현행 50㎥에서 5㎥로 줄였다. 1일 하수처리용량이 5㎥ 이상일 때 방류수의 수질을 결정하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과 부유물질(SS)은 모두 ℓ당 10㎎ 이하로 했다. 1일 하수처리용량이 5㎥ 미만일 때의 BOD와 SS는 ℓ당 20㎎ 이하다. 처리기준 자체를 대폭 강화한 셈이다.

도수자원본부는 4개 점검반을 구성, 하수도 시설 미설치 지역의 기존 오수처리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한다. 점검대상은 관광호텔·펜션 등 오수처리시설 용량이 큰 사업장과 민원 발생 사업장, 최근 2년간 미점검 사업장, 지하수 오염 우려가 있는 지역의 사업장 등이다.

도 관계자는 “중산간 지역 펜션 등을 특별 점검해 오수처리시설의 전원을 끈 행위 등 중대한 사항에 대해 고발조치하는 등 강력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