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가계대출 또다시 4조원 넘게 급증… 주택담보대출이 주도

입력 2014-11-30 12:06

가계대출의 급증세가 가파른 가운데 11월에도 주요 7개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4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증가액이 4조원을 넘어선 것은 8월 4조6302억, 10월 4조8459억원에 이어 올해 들어 세 번째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외환은행 등 7개 시중은행의 지난 27일 가계대출 잔액은 443조7834억원으로 10월 말에 비해 3조9973억원 급증했다. 마지막 영업일인 28일 증가분을 합치면 증가액은 4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은행에 더해 가계대출을 취급하는 나머지 10개 은행을 합산하면 전체 은행권의 11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10월(6조9000억원 증가)에 버금가는 수준이 될 전망이다.

덩치가 가장 큰 국민, 우리, 신한은행의 경우 가계대출 증가액이 10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각각 1조원을 넘어섰다.

가계대출 급증은 주택담보대출이 주도했다. 7개 은행의 11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3조1518억원에 달해 10월(3조8586억원)에 이어 두 달 연속 3조원을 넘어섰다. ‘최노믹스’로 불리는 부동산 규제완화와 저금리 정책으로 주택 거래가 살아나면서 주택담보대출의 수요가 크게 늘어난 탓이다.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어나는 데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 주택가격이 오르고 매매가 활발해지면 문제가 없지만 집값이 하락하면 대출의 질이 급격히 악화되기 때문이다. 또 대출로 무리하게 집을 구입한 사람들은 부채를 상환하기 급급해져 민간 소비를 급속히 냉각시킨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풀고 금리를 낮춰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는 것은 중장기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며 “부채는 결국 상환해야 하는 자금이므로 장기적으로 소비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