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함 이르면 12월에 해군인도, 내년 초 전력화

입력 2014-11-28 17:35

군수물자 ‘납품비리의 종합판’으로 불렸던 해군 차기수상구조함 통영함이 이르면 올해 말 해군에 인도된다.

합동참모본부는 28일 군 수뇌부가 참석하는 합동참모회의를 열고 납품비리 논란이 제기된 통영함의 조기 전력화를 결정했다. 합참관계자는 “이날 회의에서 통영함에 장착되는 장비 중 선체고정음파탐지기(HMS)와 수중무인탐사기(ROV)의 장착 시기를 연기하되 해군 구조함이 심각하게 노후화된 상황을 감안해 통영함을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전력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작전요구성능(ROC)를 충족하지 못한 ROV는 2015년 12월말까지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장비를 장착하고 HMS는 2017년 9월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방위사업청은 당초 통여함 인수시 충족해야 하는 168개 항목 중 미충족된 6개 항목에서 이번에 장착시기를 연기하기로한 ROV와 HMS를 제외한 4개 항목을 점검한 뒤 문제가 없으면 올 12월말이나 내년 초 통영함을 해군에 인도할 계획이다. 해군은 통영함의 성능확인 및 작전능력 평가, 전투력 종합훈련 등의 절차를 거쳐 내년 3∼4월쯤 실전배치할 예정이다.

작전요구성능을 충족하는 HMS가 장착될 때까지 통영함은 소해함의 도움을 받아야 구조작업을 할 수 있다. 통영함은 건조 과정에서 납품비리 의혹으로 성능이 떨어지는 HMS가 장차돼 스스로 목표물을 정확히 찾을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성능이 떨어진 장비를 완전히 개선하지 않은 채 해군에 인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통영함을 둘러싼 납품비리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통영함을 조기에 인도해 잡음을 봉합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에대해 군 관계자는 “통영함 납품비리와 전력화 문제는 구분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해군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조함이 앞으로 사용하기 위험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노후화되고 있어 통영함이 투입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라며 “납품비리는 감사원등에서 철저히 수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