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동생이자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고모 김경희가 남편인 장성택 처형 후 며칠 만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NK지식인연대는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내외신기자 초청 월례 북한정보브리핑’에서 내부 소식통을 인용,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NK지식인연대의 김흥광 대표는 “평양 고위층으로부터의 전언에 의하면 김경희는 남편 장성택이 김정은에 의해 즉결 처형된 지난해 12월 12일로부터 5일 후인 12월 17일, 즉 오빠 김정일의 사망 2주기날 아침에 자신의 삼석 저택에서 음독자살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김정일 추모 2주기 행사에 참석하게 김경희를 모셔 오라는 조카 김정은의 명을 받고 호위사령부 호위조가 아침 9시쯤 김경희의 삼석 저택에 도착했을 때 그는 방금 목숨을 끊은 상태였다고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에 따르면 김경희의 급사에 제일 다급해한 것은 김정은이었다고 한다.
김정은은 김경희의 자살소식을 보고받고도 믿기지가 않아 김경희 시신이 안치된 봉화진료소에 바로 달려가 김경희의 죽음을 확인했고 그가 자살하도록 곁에서 경호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죄를 물어 김경희의 삼석 저택 호위팀을 해체하라고 주변 사람들에게 화를 냈다는 것이다.
특히 김경희가 자기의 남편을 무참하게 죽인 조카에게 남긴 저주의 유언장을 읽고 분위기가 한 때 살벌했는데, 이 때문에 평양체육관에서 개최된 김정일 2주기 추모행사가 1시간 연장됐고 추모행사에 참석한 김정은의 인상은 살기가 그득했다고 그는 덧붙였다.
김 대표는 “김경희 자살이유가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지만 그가 조카 김정은을 저주하는 유언장을 남겼다는 사실로 미뤄볼 때 조카에게 남편이 죽임을 당하고 나서 자식과 남편을 모두 저승으로 앞세우고 외톨이가 됐다는 극도의 우울증 때문에 삶의 끈을 완전히 놔버렸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경희 시신은 김정은 지시에 따라 북한의 항일빨치산 등 혁명열사들이 안치되는 대성산 주작봉 혁명렬사릉 한 켠에 비석도 없이 매장됐다고 그는 전했다.
한편 지난해 말 장성택 북한 전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처형 이후 김경희가 김정일 사망 2주기 행사에 불참하자 자살하거나 심장마비로 숨졌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하지만 당시 청와대는 “김경희 사망설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부인했었다.
이명희 선임기자 mheel@kmib.co.kr
장성택 처형 후 사라진 김경희, 저주의 유언장 남기고 자살?
입력 2014-11-27 14:37 수정 2014-11-27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