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함! 침선(침몰선박) 위치 도착, 정밀유도 바람!”(통영함)
“표적위치 통영함으로부터 270도, 5m, 유도침로 270도. 이상”(옹진함)
26일 오후 12시 30분 부산 해군작전사령부로부터 남서쪽 20㎞, 오전 5시 폭풍주의보가 해제된 해상에 너울이 넘실거리는 가운데 수상구조함인 통영함이 기뢰제거(소해)함 옹진함과 무선통신을 주고받았다.
잠시 후 “온 탑(On Top)”이란 무전이 옹진함에서 통영함으로 전달됐다. 통영함이 가상 침몰선 바루 윗 지점에 정확히 자리를 잡았다는 전언이었다. 통상적인 구조함은 본체에 장착된 선체고정음파탐지기(HMS)를 이용해 스스로 작업 위치를 찾아야 하지만 통영함은 소해함인 옹진함의 도움 없이 목표물을 탐지할 수 없었다.
마치 사고 해역에 도착한 잠수부가 눈을 감은 채로 옆 사람의 도움을 받아 “앞으로 몇 걸음, 왼쪽으로 몇 걸음” 식의 지시에 따라 위치를 찾는 모양새였다.
건조 과정에서 어군탐지기 수준의 HMS가 달렸다는 납품비리 의혹으로 불거지는 바람에 해군은 통영함에 장착된 HMS 기능을 정지시켜 놓은 상태다. 때문에 통영함은 새로운 HMS를 장착할 때까지 소해함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해군과 통영함 제작사인 대우해양조선은 이날 방위산업 ‘비리 태풍’의 핵심에 놓여 있는 통영함의 성능과 수중 선체 구조 시범을 선보였다. 좌초된 함정을 끌어내는 ‘이초’를 비롯해 ‘인양’ ‘예인’ ‘잠수지원’ 등 다른 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됐다.
그러나 HMS는 지하 3층에 위치한 소나 장비의 실물만을 공개했을 뿐 아예 전원조차 공급하지 않았다. 함정 뒤쪽에서 수중 작업 상황을 지시하는 구조지휘소의 10여개 모니터 가운데 HMS 모니터는 꺼져 있었다.
이정재 방위사업청 상륙함사업팀장(해군 대령)은 “현재 달린 HMS는 상용 장비 수준이어서 군사용으로는 도저히 사용할 수가 없다”며 “납품 계약을 해지하고 반납할 것이기 때문에 가동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방사청과 군은 통영함에서 HMS를 제거해 납품업체에 반납한 뒤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기로 했다. 납품 공고에 이어 계약자 선정→계약→제작→장착→시험→정상 가동을 위해선 2년가량 소요될 예정이다.
이날 공개된 통영함의 탑재장비 중 HMS와 수중무인탐사기(ROV)에 장착된 초음파 카메라를 제외한 다른 장비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통영함장인 박정식 중령은 “구조함의 핵심인 잠수장비와 인양을 위한 크레인, 다른 함정이나 선박을 끌어당기는 유압권양기 등 160여 가지의 장비들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며 “지난해 실시한 92가지의 시험평가에서도 HMS와 ROV초음파 카메라를 제외한 다른 항목은 모두 통과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수심 91m까지 내려갈 수 있는 잠수사 이송 장치와 감압장치인 챔버, ROV에 장착된 광학카메라, 100m 이상 물을 뿌려 불을 끌 수 있는 소화건 등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이병권 해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소장)은 “HMS와 ROV초음파 카메라가 없어도 퇴역 시기를 이미 넘긴 광양함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며 “광양함의 주요 장비들이 노후화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면 통영함 인수가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오는 28일 합동참모회의에서 통영함의 해군 인도 안건을 상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부산=국방부 공동취재단,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통영함 성능시범-소해함 없이 목표물 탐지 못해...나머지는 정상작동
입력 2014-11-26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