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사들의 객실 승무원 가운데 고등학교 졸업이하는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항공사는 총 7개로 승무원은 1만명이 넘지만 모두 2년제 대학이상의 학벌인 것이다.
이 때문에 최근 많은 기업들이 성별·학력 차별을 없앤 열린 채용을 늘리고 있는 추세에 ‘역행’하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노근 새누리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국내 7개 항공사 승무원은 7월말 기준 1만108명(외국인 제외)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4년제 대학 졸업자가 7877명으로 77.9%를 차지했으며 2년제 대학 졸업자는 20.1%인 2034명(20.1%)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대학원 졸업 이상은 197명(1.9%)으로 이들 상당수는 입사 후 대학원에 진학한 경우.
대한항공은 가장 많은 5579명의 승무원 중 대학원 이상이 124명, 4년제와 2년제 대학 졸업자는 각각 3954명과 1501명이다.
아시아나항공은 3487명 가운데 대학원 이상 52명, 4년제 3039명, 2년제 396명이었다.
제주항공은 391명 가운데 대학원 이상 7명, 4년제 313명이었으며 2년제는 71명이다.
이스타항공 역시 128명 가운데 대학원 이상과 4년제가 각각 5명과 123명으로 2년제 이하 졸업자는 없었다.
일부 항공사는 아예 4년제 이상만 승무원으로 채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이들 항공사 중 대한항공과 자회사인 진에어 이외는 학력 요건을 폐지하 계획이 없다는 것.
고졸 출신은 아무리 항공사 승무원이 되고 싶어도 될 수가 없는 것이다.
이 의원은 “학력차별을 줄이려고 고졸 채용을 늘리는 추세를 항공사들이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
“고졸은 항공사 승무원 될 수 없나요?”… 항공사들 ‘그들만의’ 채용
입력 2014-11-26 09:10 수정 2014-11-26 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