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자민·민주 ‘양당제 구도’ 붕괴 조짐… 민주 총선 공천자수 사상 최저

입력 2014-11-25 17:00

다음 달 열리는 일본 중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야당의 몰락이 예상되면서 자민당-민주당 구도의 양당제가 붕괴될 조짐을 보인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일본에서는 2009년 정권교체에 성공한 민주당이 자민당 견제세력으로 자리잡으면서 양당제 정립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자민당이 창당된 1955년 이후부터 93년까지 자민당 ‘단독과반 체제’가 이어졌고 이후 2009년까지는 자민당이 여전히 제1당인 가운데 ‘연립여당 체제’가 유지됐다.

하지만 불과 4년 만에 제2당인 민주당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민주당은 전날 전국 간사장·선거 실무자 회의를 열고 295개 전체 지역구 중 3분의 2에도 못 미치는 170여개에 후보자를 공천하기로 결정했다. 오카다 가쓰야 민주당 대표대행은 “앞으로 여기에 ‘약간 명’이 더 추가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민·공명 연립여당은 이미 전 지역구에 출마할 후보를 정해놓은 상태다.

더구나 민주당의 이번 공천자 수는 1998년 창당 이래 가장 적다. 2012년 총선과 비교해도 90여명이나 줄었다. 민주당은 매회 총선에서 240~290명 수준의 후보를 내왔다. 54년 만에 정권교체를 이룬 2009년 총선 직전에도 보유 의석은 115석뿐이었지만 271명을 공천해 압도적 승리의 기반을 마련했다.

에다노 유키오 민주당 간사장은 기자들과 만나 “과거와 비교할 게 아니라 ‘제로(0)’에서 여기까지 쌓아올린 것임을 알아줬으면 한다”며 “전체 지역구 절반 이상에 후보자를 내겠다는 목표는 달성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에는 비관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비례대표까지 포함해 100명만 당선시켜도 감지덕지”라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민주당의 소극적인 태도는 전날 발표한 공약에서도 엿볼 수 있다. ‘집단 자위권 용인 철회’ ‘아베노믹스 심판’ ‘중산층 회복’ 등을 내걸면서도 정작 ‘정권교체’ 구호는 전면에 내세우지 못했다. 선거벽보에는 ‘이제는 흐름을 바꿀 때’라는 문구를 넣었지만, 사실상 수권 능력이 없음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반면 자민당은 기세등등한 분위기다. 다니가키 사다카즈 간사장은 지난 22일 “전원 당선을 목표로 하겠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자민당은 ‘아베노믹스 구하기’ ‘집단 자위권 관련 법제 정비’ ‘후텐마 미군기지 현내 이전’ ‘법인세율 인하’ 등 기존 정책 기조를 잇는 공약과 함께 ‘적극적 평화외교를 통한 주변국 관계 개선’을 공약으로 발표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