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 전당대회를 앞둔 새정치민주연합이 이번엔 선거인단 구성비율을 놓고 내분이 벌이고 있다. 권리당원 자격요건을 둘러싼 제1라운드 대결이 별다른 잡음 없이 싱겁게 마무리된 반면, 차기 지도부 선거 결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선거인단 구성비에 대해서는 계파 간 셈법이 첨예하게 맞물려 있어 진통이 예상된다.
25일 당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등에 따르면 전날 열린 전준위 회의에서는 대의원, 권리당원, 일반당원·국민의 투표 반영비율에 관해 격론이 벌어졌다. 친노(친노무현)계, 정세균계, 비노(비노무현)·중도파가 이 문제를 두고 뚜렷한 시각차를 보여 합의가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각 계파가 유력 당권후보로 꼽히는 문재인 정세균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의 지지기반이라는 점에서 본격적인 대리전이 펼쳐졌다는 시각도 있다.
친노계는 일반당원·국민의 여론조사 비율을 30%로 하고 대의원(30%)과 권리당원(40%)의 비중을 70%로 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정세균계는 대의원 50%, 권리당원 30% ,일반당원·국민 20%를, 비노계는 대의원 30%, 권리당원 50%, 일반당원·국민 20%의 안을 각각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새정치, 이번엔 전대 권리당원 놓고 내분
입력 2014-11-25 1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