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이 납품비리 의혹이 제기된 차기 수상함구조함(ATS-Ⅱ) 통영함의 조기 전력화를 추진키로 해 논란에 예상된다.
군 관계자는 24일 “통영함은 현 구조함의 노후도태에 따른 전력공백 방지를 고려해 우선 전력화가 필요하다”며 “합동참모본부는 함정을 우선 전력화하고 성능을 충족하지 못하는 선체고정음탐기(HMS)와 수중무인탐사기(ROV)는 성능을 충족하는 장비로 추후 장착하는 안건을 오는 28일 합동참모회의에 상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상함구조함은 고장으로 움직일 수 없거나 좌초된 함정을 구조하거나 침몰한 함정과 항공기 등을 탐색·인양·예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현재 해군이 운용중인 수상함구조함 중 1968년에 건조된 광양함과 1972년에 건조된 평택함은 수명주기(30년)를 각각 16년, 12년 초과한 상태다.
합동참모회의에서 통영함 조기 전력화가 최종 결정되면 해군은 이 함정을 인수해 운용하면서 작전요구성능(ROC)을 충족하지 못하는 선체고정음탐기와 수중무인탐사기를 1∼2년 동안 개선하는 절차를 밟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성능이 떨어진 장비를 개선하지 않은 채 해군에 통영함을 인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통영함을 둘러싼 방산비리 의혹이 불거진 상황에서 통영함을 조기에 인도해 방위사업청과 해군 모두 잡음을 봉합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납품비리로 제구실 못하는 ‘통영함’ 조기전력화 추진 논란
입력 2014-11-24 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