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을 기점으로 여성인구가 남성보다 많은 ‘여초’(女超)시대가 열린다. 또한 고령화 현상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통계청의 장래 인구 추계에 따르면 내년 여성인구는 2531만명으로 남성인구 2530만명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됐다.
남아선호 사상이 강했던 한국에서 남녀 인구가 역전된 것은 정부가 1960년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여성인구는 2031년 2626만명을 정점으로 2032년부터 줄어들 것이 예상됐지만 남성인구는 2029년 2591만명을 정점으로 2030년부터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여초 현상은 저출산과 고령화가 주 원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출생성비(여아 100명당 남아)는 105.3이다. 이는 사상 최저 수준이지만 여전히 아들이 많다는 의미다.
하지만 세계 최하위권의 낮은 출산율이 계속되고 고령인구의 비중이 늘어나는 가운데 여성의 기대수명이 남성보다 길어 전체 여성 인구가 남성을 앞지르게 됐다.
또한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오는 2016년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서고 2017년부터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 대비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사회가 된다.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로 2060년 실질 경제성장률은 0.8%로 떨어지고 국가채무는 국내총생산(GDP)의 168%를 넘어 설 것으로 예측됐다.
서정학 기자 mideum@kmib.co.kr
여성인구, 내년 남성보다 많아진다…1960년 조사 이후 첫 추월
입력 2014-11-23 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