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사회신뢰 수준이 10점 만점에 4.59점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통’ 수준도 밑도는 결과다. 불신 정도는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격차가 크다고 느낄수록 높게 나타났다.
2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슈 앤 포커스 최신호에 실린 ‘복지지국가, 사회신뢰의 관계분석과 시사점’에 따르면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10점 만점에 4.59점이라는 평균 점수가 나왔다. 이 조사 결과는 지난 7∼8월 전국 19세 이상 성인 36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자료에 따른 것이다.
사회신뢰 수준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아졌다. 연령별로는 30대의 신뢰도가 4.26점으로 가장 낮았다. 20대는 이보다 다소 높은 4.28점이었다. 사회신뢰 수준이 가장 높은 60대 이상(4.97점)도 보통(5점)에 못 미쳤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의 사회신뢰도는 4.41점으로 최하위, 중졸 이하가 4.84점으로 최상위였다.
생활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33점이 나왔다. 연령별로는 사회신뢰도와 반대로 30대(5.70점)가 가장 높고 60대 이상(4.77점)이 가장 낮았다. 60대만 5점을 못 넘겼다.
‘한국의 소득 격차가 너무 크다’는 데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는 대체로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우 동의한다’ 1점, ‘매우 반대한다’ 5점 사이에서 평균 점수는 1.76점으로 나왔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주관적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소득 격차가 크다고 생각했다. 소득격차가 크다는 인식이 강한 집단일수록 사회를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정해식 보사연 사회통합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사회신뢰 수준의 제고는 안정적이고 공평한 분배 상태를 달성함으로써 일부분 가능하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한국인의 사회신뢰 수준 10점 만점에 4.59점”
입력 2014-11-23 0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