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뉴타운지구 재개발 사업의 각종 이권을 차지하기 위해 수십억원 뒷돈을 주고받은 재개발조합 임원과 업체 대표 등이 무더기로 검찰에 적발됐다. 대표적 뉴타운인 가재울·왕십리·거여·북아현 지구의 재개발조합장 4명은 나란히 구속됐다.
서울서부지검 형사5부(부장검사 이근수)는 가재울 등 4개 뉴타운지구의 재개발조합, 시공사, 철거업체 임원과 건설브로커 등 15명을 구속 기소하고 5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20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철거업체 W사 회장 고모(52·구속)씨 등 임원 4명은 2006~2011년 가재울 3구역, 왕십리 3구역, 거여 2-2지구 재개발조합 임원들에게 대여금 형식으로 10억원대 뇌물을 건네거나 철거 하도급 업체로부터 16억원 상당의 리베이트를 받았다.
왕십리 3구역 조합장 이모(69·구속)씨 등 5명은 2008~2010년 W사가 철거공사를 수주하게 해주고 12억5000만원을 받아 챙겼으며 사업비를 부풀려 조합에 44억원 상당의 손해를 끼쳤다. 한모(59)씨 등 가재울·거여·북아현 재개발조합 임원 4명 등도 철거업체 및 정비업체로부터 억대의 금품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북아현 3구역의 정비업체에 4억원을 건넨 혐의(뇌물공여)로 시공을 맡은 대기업 건설사 두 곳의 부장 2명도 재판에 넘겼다.
철거업체·정비업체는 재개발추진위원회가 구성되는 초기 단계부터 조합 임원 후보들에게 수년간 대여금 형식으로 경비를 지원하며 유착관계를 형성했다. 실체가 없는 외부용역(OS)업체를 내세워 조합원들로부터 시공사·협력업체 선정 서면동의서를 받아 사업 전반을 장악하기도 했다. 이들과 결탁한 재개발조합 임원들은 각종 용역대금의 10%를 리베이트로 받는 게 ‘관행’이었다.
철거업체 등은 각종 공사비를 부풀려 리베이트 자금을 조성했고 불어난 비용은 고스란히 일반 조합원들에게 전가됐다. 철거업체 W사는 조합이 철거용역 비용 등을 제때 내지 못하자 사전에 매수한 특정 조합원들을 보호하겠다며 폭력조직을 동원해 조합사무실에 난입하기도 했다. 검찰은 “다른 사업지구에도 유사한 비리가 만연해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왕십리·가재울·송파거여·북아현 뉴타운 재개발조합장 4명 나란히 구속,
입력 2014-11-20 22:00